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조직강화특위 외부위원인 전원책 변호사가 정면 충돌하면서 자유한국당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차기 지도부를 뽑을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놓고 벌어진 논란 때문입니다. 한국당은 내년 2월 전당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된 상태이지만, 전 변호사가 전대 연기를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전 변호사는 조직강화 특위의 핵심 사안인 당협위원장 인선 문제 등 조강특위 활동을 2월 전당대회 전에 마무리할 수 없다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전 변호사는 언론을 통해 “‘죽어도 2월’이라면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전 변호사는 전당대회 일정을 조강특위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전당대회 시기를 늦추는 건 명분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김 위원장은 5일 비대위 회의에서 “2월 말 전후로 비대위를 정리하겠다. 조강특위를 비롯한 모든 하위 기구들이 이 일정에 맞춰 달라”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8일 기자들과 만나서도 “(전당대회 시점은) 조강특위가 결정하는 사안이 아니다, 비대위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김용태 사무총장도 8일 전 변호사를 향해 “당헌 당규상 역할을 넘어서는 언행을 각별히 유의하라는 뜻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전 변호사에 공개적인 경고를 보낸 셈입니다. 당 안팎에선 전 변호사의 조강특위 위원 해촉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병준 위원장과 전 변호사가 싸우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표면적인 이유는 전당대회 시기를 둘러싼 논쟁처럼 보이지만, 자유한국당 혁신과 보수대통합의 범위를 놓고 두 사람이 시각차가 큰 것이 본질적인 원인이라는 지적입니다.

이번주 더정치에서는 김병준 위원장과 전원책 변호사의 갈등의 원인을 짚어보고, 차기 자유한국당 지도부 구성 전망을 놓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박종찬 기자 pjc@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