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가 격리 치료중인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감염격리병동에 9일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가 격리 치료중인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감염격리병동에 9일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실패는 ‘국가가 뚫렸다’는 말까지 낳았다. 초동대응 자체도 완벽한 실패였지만,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정부가 숨기는 등 투명성을 결여한 대응이 불신을 가중시켰다. 3년 만에 발생한 메르스 환자 대처에서 정부가 무엇보다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이다.

쿠웨이트에서 출장을 마치고 두바이를 경유해 지난 7일 입국 뒤 서울대병원에서 확진판정을 받은 61살 남성 환자의 감염 경로는 아직 오리무중이다. 쿠웨이트에서 설사 증상으로 현지 병원을 찾았다 하나, 입국 당시엔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도 없었던데다 쿠웨이트는 2016년 이후 환자 발생이 보고되지 않아 질병관리본부의 메르스 오염지역에서도 빠져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귀국 직후 병원으로 향해 24시간 만에 확진판정을 받는 등 비교적 신속한 초동대처다. 언론 공개도 확진 3시간이 안 돼 이뤄졌다. 3년 전에는 첫번째 환자가 12일 만에 첫 진료를 받고 보름 만에 확진을 받은데다 의심환자를 공동병실에 방치하기도 해 급속한 확산을 막지 못했다. 당시 병원 폐쇄까지 겪었던 삼성서울병원은 이번에 환자를 응급실에 들이지 않고 격리·진단해 보건당국에 의심환자로 신고했는데, 그만큼 우리 대응 시스템이 나아졌다는 얘기일 게다. 공항 검역대를 그냥 통과했던 것은 기존에 마련한 위험 지역과 증상 기준을 벗어난 때문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좀더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격리 조처에 들어간 밀접접촉자 22명 외에 추가 접촉자를 파악하고 440명에 이른다는 일상접촉자에 대한 상황 파악에도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특히 최대 잠복기인 앞으로 2주간,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와 질본, 지자체의 공조체제 구축은 물론 국민들의 협조도 필수적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원인 메르스는 아직 백신이 없고 치사율이 20~46%에 달한다. 3년 전 당시엔 7개월간 186명이 감염되고 38명이 사망했다. 엄청난 혼란 속에서 국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지고 경제가 마비되었던 기억이 국민들에게 생생하다. 메르스 이후 정부는 관련법을 만들고 권역별 음압 병상을 마련하는가 하면 질본을 차관급으로 격상하는 등 방역 체계를 정비해왔다. 9일 이낙연 국무총리는 “3년 전의 실패를 잊지 않겠다”며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고 말했다. 신속하고 투명성 있는 대응으로 국민들의 불안을 줄여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