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평창 겨울올림픽 폐막식에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22일 통보해왔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등의 개막식 참석에 이어 폐막식에도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는 것은, 북한이 평창 올림픽으로 마련된 남북관계 개선 기회를 일회성 이벤트로 여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끌고 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힌다.
김 부위원장은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당 통일전선부장을 맡고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에 남북정상회담 제안 배경 및 북-미 접촉 가능성에 관해 깊은 얘기를 하고, 우리 쪽 설명도 충분히 듣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 부위원장이 이방카 트럼프 미국 백악관 선임고문과 폐막식에서 조우할 가능성도 있다. 별도의 북-미 접촉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지만, 이방카와 김영철이 형식적 악수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펜스 부통령이 보여준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 이미지를 순화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 북한 대표단에는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이 포함돼 있어, 이방카를 수행하는 미 국무부나 중앙정보국(CIA) 실무진 사이에 북-미 접촉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긴 힘들다.
한반도 문제는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 대화가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한쪽을 팽개치고 나머지 한쪽만 앞으로 나아가긴 힘들다. 따라서 북-미는 지난번 불발에 그친 접촉 노력을 경험 삼아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우리 정부도 이를 위한 외교적 중재 노력을 계속 기울여야 할 것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천안함 피격 사건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진데다 국제사회의 대북 금융제재 대상이어서, 일부에선 그의 방남을 ‘대북 제재 무력화’ 기도라고 비난하기도 한다. 하지만 ‘평창 올림픽’에 한해선 이미 대북 제재의 예외 적용이 이뤄져왔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 이를 과도하게 문제삼는 것은 ‘한반도 평화와 긴장 완화’라는 큰 물줄기를 흐리는 일이다. 비록 성사되진 못했지만 평창 개막식에서 북한이 미국에 만남을 제안하고 미국 역시 이를 수락했다는 것 자체가 몇 달 전만 해도 상상하기 힘들었던 상황 변화라 할 수 있다. 모처럼 불어온 남북 간, 그리고 북-미 간 접촉 분위기를 최대한 살려나가기 위해 지혜롭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