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취임 수락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취임 수락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한겨레 프리즘] 조혜정 | 정치팀장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참 세련됐다. 몸에 꼭 맞춘 양복에 지적인 느낌을 주는 뿔테 안경, 어떤 질문에도 망설임 없는 답변, 너무 똑똑해서 가까이 다가가기 힘들 것 같은데 시장에서 만난 아이들에게 “학교 빼먹은 거 아니냐”고 걱정하며 호떡을 사주는 다정함까지, 여러모로 매력적이다.

그런데, 한 위원장의 시대인식은 아직 2024년으로 따라오지 못한 것 같다. 지난달 31일, 과거 1970~80년대 운동권이었다가 전향한 이들이 주축인 민주화운동동지회 등이 연 토론회에 보낸 축사에서 한 위원장은 “86 운동권 특권 세력 청산은 시대정신”이라고 했다. 그에 앞서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한 지난해 12월26일에도 한 위원장은 “운동권 특권”이라는 표현을 일곱 차례나 사용하며 이들을 청산해야 한다면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향한 혐오와 적대감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바 있다. 그것도 모자라 이제는 ‘운동권 청산’이 ‘시대정신’이라니, 한 위원장과 내가 같은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은 맞는가 싶었다.

광고

한 위원장은 국회의원이나 정부 요직을 지낸 민주당의 80년대 학번 정치인들을 ‘운동권 특권 세력’이라고 부른다. 86세대가 정치권에 처음 집단적으로 진출한 건 2000년 16대 총선을 앞두고다. 당시 정치권은 여야를 가리지 않고 ‘새 피’를 수혈한다며 이들을 영입했고, 10여명이 당선됐다. 당시 영입된 이들 중 일부는 한 위원장 말대로 “386이 486이 되고 586, 686이 되도록” 정치를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20년 넘게 정치를 하면서 산전수전 다 겪은 이들에게 아직도 ‘운동권’이라고 하는 건 적확하지 않다. 3선인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경찰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게다가 한 위원장 논리대로라면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운동권 특권 세력’으로 청산 대상에 해당한다. 원 전 장관은 학생운동을 거쳐 노동운동에 투신한 경력을 인정받아 2000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공천을 받았고, 이후 3선 의원에 재선 제주지사, 장관까지 지냈다. 그럼에도 한 위원장은 원 전 장관을 이재명 대표의 대항마로 추어올렸고, 원 전 장관은 인천 계양을에 출마해 4월 총선에서 4선에 도전한다.

광고
광고

머리 좋기로 소문난 한 위원장이 이런 상황을 모를 리 없다. 그렇다면 왜 팩트도 빈약하고, 논리도 조악한 시대정신론을 꺼내 든 걸까. 한 위원장이 ‘영입인재 1호’로 모신 박상수 변호사가 지난해 페이스북에 쓴 글이 한 위원장을 이해할 실마리가 될지도 모르겠다. “2040 청년들이 왜 분노하고 있냐는데, 기성세대가 약속한 최상단의 코스를 밟아도 나이 마흔에 결혼하여 아이 기르고 집 한 채 마련하는 것도 보장받지 못하는데 어떻게 분노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60년대생 이상 꿀빨러(고생하지 않고 편하게 이득을 본 사람)들은 (청년들을) 이해할 생각도 없다.” 86세대가 모든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자원을 독점하는 바람에 이후 세대가 착취당하고 있다는 이른바 ‘꿀 빤 세대론’이다.

이는 여러 통계와 분석으로 사실이 아니라는 게 이미 증명된 바 있다. 그럼에도 ‘꿀 빤 세대론’은 극히 일부 사례에 불과한 ‘성공한 586 상층부’를 일반화해 청년들의 증오를 부추긴다.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책 ‘그런 세대는 없다’에서 “민주당·진보·좌파를 비난하는 86세대 담론은 한국 사회의 불평등·불공정 현실에 대한 청년의 분노를 정치·이념 투쟁의 맥락 안으로 끌어들이는 물길”이라고 일갈한 바 있다.

광고

‘갈라치기’는 적을 분명히 하고 우리 편을 공고히 만든다는 점에서 중요한 득표 전략일 수 있다. 하지만 한 위원장이 취임식에서 말했던 “좋은 나라 만드는 데, 동료 시민들의 삶을 좋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었다”는 게 진심이라면, 그가 읽는 시대정신은 달라져야 한다. 최악의 불평등, 여전한 노인 빈곤, 길 잃은 국정운영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은 널렸다.

z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