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김소연 | 도쿄 특파원
일본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바다 방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4일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종 보고서가 발표됐고, 관련 행정절차도 모두 끝났다. 새달 중 방류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오염수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뜨겁다.
도쿄전력의 불투명하고 무능한 대응은 불신을 한층 키우고 있다. 오염수의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의 성능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지금도 여러 나라에서 시료 채취를 요구하고 있지만, 도쿄전력은 특별한 설명도 없이 거부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조차 직접 시료를 뜨지 못했을 정도다.
원전 인근 바다에서 잡힌 조피볼락(우럭)·쥐노래미 등에서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도쿄전력은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 범벅’ 물고기가 왜 잡히는지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다고 설명한다. 원전 폭발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된 지 12년이 지났는데, 그동안 도쿄전력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 원전 인근 바다와 해저 토양은 도대체 어떤 상태인가. 이런 상황에서 오염수를 30~40년 동안 바다로 내보겠다고 하니, 주변국이 불안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도쿄전력의 비상식적인 행동은 계속 반복되고 있다. 도쿄전력은 이달 초 외신들의 취재를 지원하는 일본포린프레스센터(FPCJ)를 통해 후쿠시마 제1원전 현장 취재 신청을 받았다. 21일 하루 일정이지만 방류 설비를 직접 살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결과를 통보받고 어이가 없었다. 신청서를 제출한 한국의 신문사·통신 가운데 <한겨레>만 선정되지 않았다. 지상파 중에서는 <문화방송>(MBC)만 제외됐다. 외신을 상대로 한 후쿠시마 원전 취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지난해 11월, 올 2월에도 포린프레스센터를 통해 진행된 바 있다. 당시는 한국 언론사 중 1곳만 선정됐기 때문에 결과에 수긍했다. 이번엔 상황이 다르다. 무엇보다 앞서 현장 취재에 참여했던 언론사 2곳이 이번에 또다시 선정됐다. 센터에 형평성 문제를 거론하며 선정 기준을 따져 물었더니, 도쿄전력이 결정한 것이라고 알려왔다. 도쿄전력은 지금까지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한겨레>와 <문화방송>의 공통점이라면 다른 언론사에 견줘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를 담은 기사를 많이 보도했다는 것일 테다. 비판 기사를 많이 썼다는 이유로 한국을 대표해 취재하고 있는 언론사를 배제한 것이라면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다. 주일 한국대사관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고, 일본 외무성과 도쿄전력에 우려를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
형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본에서 외국 언론사를 상대로 이렇게 노골적으로 갈라치기를 한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왜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아마 그렇게 해도 괜찮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대통령을 비판했다고 국외순방 취재 때 전용기 탑승을 거부하거나, 대통령이 공식 기자회견을 뒷전으로 한 채 입맛에 맞는 언론사 기자만 따로 불러 만나는 한국 상황을 일본도 잘 알고 있다. 지난 7일 방한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도 일본에서와 달리 한국에선 언론사 몇몇을 선별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민주주의의 중요한 축인 언론(취재)의 자유가 곳곳에서 무너지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