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 틀을 확대해 한국을 포함시키자는 미국의 구상에 ‘G7 국가들과 대북·대중관이 다르다’는 이유로 반대의 뜻을 전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28일 복수의 미-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월 말 G7에 한국·오스트레일리아·인도·러시아 등 4개국을 추가하자고 제안한 직후 일본 정부 고위 관료가 “한국은 중국과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외교적 입장이 G7과 다르다. 한국의 참가에 반대한다”는 뜻을 미국에 전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판단할 것”이라는 원론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은 “일본이 아시아에서 유일한 G7 참가국이라는 외교적 우위를 지키려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의향을 반영한 대응으로 보인다”며 “역사 문제 등으로 대립하고 있는 한-일 관계가 (이번 일로) 더 냉각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지난 1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자세한 내용을 삼가겠지만, 일-미 간에 긴밀한 의사교환을 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이에 견줘,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이 G7을 G11 혹은 G12로 확대하는 문제와 관련해 한국을 초청했고, 문재인 대통령이 “기꺼이 응하겠다”고 화답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일본이 문재인 정부의 대북·대중관을 들어 ‘확대 G7’ 참가를 막고 나선 것은 한국을 예전처럼 전략적 이해를 공유하는 ‘소중한 이웃’이 아닌 일본과 세계관을 달리하는 ‘잠재적 경쟁자’로 대하겠다는 뜻을 함축한 중요한 입장 변화로 해석된다. 실제 일본은 2018년 1월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남북대화와 북-미 협상이 시작된 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끊임없이 경계하며 대화 진전을 사실상 방해했다. 최근 출간된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을 봐도,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자주 접촉하며 북한이 주장하는 ‘행동 대 행동’에 의한 단계적 접근법을 받아들이면 안 된다고 끈질기게 설득하는 내용이 여러차례 등장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일본의 공식 입장이 나오면 배경이나 진위 여부 등을 판단해볼 수 있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길윤형 최현준 서영지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