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군마현은 조선인 강제동원 희생자 추도비 철거를 지난달 29일부터 시작해 이달 3일 오후 모두 마무리 짓고, 공사 기간 폐쇄한 ’군마의 숲‘ 공원의 문을 다시 열었다. 현은 추도비를 산산조각 내는 방식으로 철거해 논란이 됐다. 위에 사진은 철거 전이고, 아래는 현재 공원 모습이다. 연합뉴스
일본 군마현은 조선인 강제동원 희생자 추도비 철거를 지난달 29일부터 시작해 이달 3일 오후 모두 마무리 짓고, 공사 기간 폐쇄한 ’군마의 숲‘ 공원의 문을 다시 열었다. 현은 추도비를 산산조각 내는 방식으로 철거해 논란이 됐다. 위에 사진은 철거 전이고, 아래는 현재 공원 모습이다. 연합뉴스

일본 군마현이 조선인 강제동원 희생자 추도비를 산산조각내는 방식으로 철거를 끝낸 가운데 자민당 우익 성향의 의원이 “정말 잘 됐다”며 일본 내 다른 조선인 관련 추도비도 “철거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스기타 미오 자민당 의원(중의원)은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 철거 기사를 올리며 “정말 잘 됐다”면서 “일본 내에 있는 위안부, 한반도 출신 노동자(강제동원)에 관한 비석이나 동상도 계속 (철거가)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어 일본이 한반도를 상대로 저지른 잘못을 기억하기 위해 만든 또다른 기념물을 다음 목표로 제시했다. 그는 교토부에 만들어진 ‘일제 강제노역 조선인 노동자상’의 사진 4장을 올리면서 “이 사진은 교토에 있는 징용공 동상으로 한국보다 먼저 만들어졌다. 사유지로 철거할 수 없는 상태다. 이것도 빨리 철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스기타 의원이 꼭 집은 추도상은 2016년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일본 교토 단바 망간 광산에 세운 ‘일제 강제노역 조선인 노동자상’이다. 당시 양대 노총은 강제동원 노동자의 인권유린 실태를 알리고,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이 동상을 세웠다. 현재 서울·인천·경남·제주 등에도 똑같은 노동자상이 설치돼 있다.

광고

스기타 의원의 이 발언은 일본의 역사적 잘못을 부인하려는 자국 내 우익단체를 선동해 또다른 철거운동을 불러일으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 우익단체들은 일본 곳곳에서 조선인 추도비 철거를 요구하는 운동을 진행 중이다. 군마현 추도비 철거를 이뤄낸 우익단체 ‘소요카제’(산들바람)는 도쿄 요코아미초 공원에 있는 ‘간토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 철거를 요구하며 매년 집회를 이어오고 있다. 이 추도비는 1973년 세워졌고, 도쿄도 소유다. 우익단체의 반발 영향 등으로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2017년부터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에 추도문을 보내지 않고 있다.

자민당 우익 성향의 스기타 미오 중의원은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 철거 기사를 올리며 “정말 잘 됐다”며 일본 내 다른 조선인 관련 추도비도 “철거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발언했다. SNS 갈무리
자민당 우익 성향의 스기타 미오 중의원은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 철거 기사를 올리며 “정말 잘 됐다”며 일본 내 다른 조선인 관련 추도비도 “철거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발언했다. SNS 갈무리

스기타 의원의 발언을 두고 일본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도통신은 “역사 수정주의와 차별을 부추기는 말로 강한 비판을 불러 일으킬 것 같다”고 전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도 ‘차별 발언을 반복하는 스기타 의원이 군마의 추도비 철거를 기회 삼아 ’조선인 노동자 위령비‘의 공격을 시사한 것“이라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광고
광고

군마현은 조선인 추도비 철거를 3일 오후 모두 마무리 짓고, 지난달 29일 폐쇄한 ’군마의 숲‘ 공원의 문을 다시 열었다. 현은 2004~2012년 이 추도비를 세우고 관리해 온 일본 시민단체 ‘기억·반성 그리고 우호의 추도비를 지키는 모임’의 추도식에서 ‘강제연행’이라는 발언이 나와 우익단체들이 반발하는 등 정치적 논란이 됐다며 추도비를 철거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