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정부 주도로 혁신기금을 꾸렸다. 영국 사회혁신을 뒷받침하는 국립과학기술예술재단(NESTA·네스타)이 대표적이다. 영국 정부가 과학기술 및 예술 분야를 위해 조성한 사회적 투자기금을 운용하는 기구다. 혈관처럼 연결된 사회단체, 벤처기업, 사회적기업, 반짝이는 혁신 아이디어 등을 쉼없이 지원하는 영국 사회혁신의 심장 구실을 하고 있다.
정부가 1998년 사회단체 등 ‘제3섹터 기관’이 벌이던 창의적인 연구와 사업을 지원하는 공익재단 설립을 제안하자, 의회가 네스타 설립을 의결했다. 재원은 복권기금(National Lottery)에서 가져온 3억2000만파운드(5000여억원)였다. 네스타는 해마다 이 기금에서 나오는 이자 2000만파운드(300여억원) 안팎을 종잣돈 삼아 정부와 별도로 혁신사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에서 기금을 지원했지만 사업 선정과 투자, 평가 등은 공무원·교수·기업인·법률가 등으로 이뤄진 네스타 이사회 등이 결정한다. 객관성·공정성을 담보한 것이 성공 비결로 꼽힌다.
네스타는 지난 4월 공공기관에서 민간기관으로 전환하면서 독립성이 더욱 강화됐으며, 영재단(Young Foundation)에서 사회혁신을 주도했던 제프 멀건이 지난해 6월부터 대표를 맡아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주최 국제회의에 참석한 멀건은 “네스타는 사회적기업과 벤처투자, 정책과 혁신 연구, 지방정부·복지·예술 후원, 혁신기술 지원 등에 집중하고 있다”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미래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8년부터 ‘플랜 A’, ‘플랜 B’라는 단기적 사회혁신을 추진했던 네스타는, 최근 장기적 혁신 이행안을 담은 ‘플랜 I’를 내놨다. 녹색 투자은행 같은 초기단계의 기업·단체 지원, 과학기술 혁신 지원, 노동시장·공공부문·교육 혁신 등 12가지 혁신 내용을 담았다.
2010년 5월 집권한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보수당 정부도 ‘큰 사회’(Big Society)란 구호를 내걸고 시민사회의 혁신을 뒷받침하겠다고 나섰다. 빅소사이어티캐피털은 지난 4월 휴면예금 4억파운드(7000여억원)와 영국 시중은행 출연 2억파운드(3000여억원) 등 줄잡아 1조원이 넘는 재원으로 출범했다. 비정부 독립기관으로서 시민단체나 사회적 기업가들이 공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한다.
런던/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