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역세권과 도심지에 ‘청년특화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올해 1천가구 규모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5일 경기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17회 민생토론회(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에서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청년층 주거부담 완화 방안’을 내놨다. 방안을 보면, 국토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역세권, 도심 등 선호입지에 청년 주거공간과 서비스를 결합한 ‘청년특화 공공임대주택’을 도입한다. 올해는 우선 1천가구 규모의 시범 공모 사업을 5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청년을 위한 공공분양·공공임대 물량도 늘린다. 공공분양인 뉴:홈은 올해 청년 특별공급 등으로 6만1천가구를 공급(인허가 기준)하며, 이 가운데 나눔형 뉴:홈은 40년 전용 모기지로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저리대출을 지원한다. 또 수도권 내 교통이 편리한 양호한 입지를 중심으로 청년층 공공임대(매입임대·전세임대) 5만1천가구를 공급한다.
광고
이와 함께 군장병도 최근 출시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게 하고, 장병내일적금 만기 시 이 통장에 일시납입할 수 있도록 해서 제대 후 자산형성을 돕기로 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