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재고 현황을 알려주는 ‘마스크 스캐너’ 화면 갈무리.
마스크 재고 현황을 알려주는 ‘마스크 스캐너’ 화면 갈무리.

‘마스크 5부제’가 시행됐지만 공적판매처 마스크 재고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주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는 모두 중단됐다. 마스크 구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부가 일선 약국들의 민원을 고려한 탓이다.

9일 코로나19 관련 시민 개발자 모임인 ‘코로나19공공데이터 공동대응팀’과 한국정보화진흥원 등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서비스를 시작하려 한 ‘마스크 사자’, ‘마스크 찾아줌’ 등 14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작사들은 서비스를 중단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쪽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앱 가동을 놓고) 정부가 대한약사회가 의견 차이를 보여 협의 중이다. 협의가 끝나야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말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공동대응팀과 손 잡고 공적판매처 입고 알림 등 마스크 관련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해 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일선 약국 재고 데이터를 토대로 구축한 요양업무포털 ‘마스크 중복구매 확인시스템’ 데이터가 토대가 됐다.

광고

그러나 서비스 시행 하루 전인 8일 일부 사이트가 미리 열리면서 시민들과 약국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졌다. 약사들의 이익단체인 대한약사회는 “마스크 5부제를 갓 시작한 현업에 부담이 될 뿐더러 앱에 공개된 데이터와 현장 재고량이 다를 경우 소비자 항의도 거셀 것”이라고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통신원은 앱 개발자들에게 부처 협의가 될 때까지 앱 서비스 사용을 일시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민 개발자 및 데이터 전문가 모임인 ‘코로나19공공데이터 공동대응팀’의 핸드북 갈무리.
시민 개발자 및 데이터 전문가 모임인 ‘코로나19공공데이터 공동대응팀’의 핸드북 갈무리.

마스크 재고 관리 앱을 둘러싼 평가는 엇갈린다. 공동대응팀과 한국정보화진흥원 쪽은 “언제든 협업할 준비가 돼 있다. 앱이 배포되면 약국도 재고를 수시로 문의하는 손님들이 줄어들 것”이라고 봤다. 반면 약국 쪽은 “마스크를 못 산 손님들 항의가 지금도 거센데 앱 데이터와 약국 현장 재고에 차이가 나면 감정싸움이 커질 것이다. 마스크 재고가 없으면 약사부터 의심하는 손님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광고
광고

정부가 약국 등 민간 네트워크에 마스크 공급을 맡긴 만큼 이런 소동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지난 4일 이후 마스크가 정부 관리 대상이 됐지만 이를 판매하는 민간 약국은 영업을 신경쓸 수밖에 없는 탓이다. 이희상 성균관대 교수(시스템경영공학과)는 “마스크 재고량은 지금 같은 시기에 굉장히 민감한 정보이며 개별 약국의 영업비밀이기도 하다. 데이터 제공 당사자인 약국과 미리 합의가 됐다면 이렇게까지 문제가 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마스크 재고를 알려주는 앱이 언제 가동될지는 미지수다. 과기부 관계자는 “정부가 대한약사회 등과 협의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