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가계부채 비율)이 185.9%로, 한 해 전보다 5.5%포인트나 뛰었다. 가계의 소득 증가는 더뎠지만 부채는 급증한 결과다. 하지만 지난해 문재인 정부 취임 이후 가계부채 규제 강도를 높여가고 있고 최저임금 인상 등 가계소득 확충 정책을 펴고 있어, 올해는 상승세가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
5일 한국은행의 국민계정(SNA)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가계부채 비율은 185.9%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비율은 자금순환표상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를 순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별 가계부채 수준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우리 정부도 2014년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지표로 쓰고 있다.
가계부채 비율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8년(143.3%) 이후 해마다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지난해 상승폭은 최근 9년간(2009~2017) 평균인 4.7%포인트를 다소 웃도는 수준이다. 다만 2014년 8월 박근혜 정부 당시 단행된 가계대출 규제 완화에 따라 부채 규모가 폭증한 2015년(6.2%포인트)과 2016년(11.4%포인트)에 견줘선 큰 폭으로 줄었다.
가계부채 비율이 오른 것은 지난해에도 가계의 소득 증가보다는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랐기 때문이다.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한 해 전보다 4.5%(39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부채는 7.7%(121조원)나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최근 10년간(2008~2017) 연평균 증가율(4.8%)에도 못 미쳤다.
다만 올해는 이런 상승세가 주춤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가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강화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새로 도입하는 등 가계대출을 옥죄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6~7개월 동안 가계부채 증가세는 한풀 꺾인 모습이다. 월별 통계가 제공되는 시중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추이를 보면, 가계대출 증가율은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달마다 10%(전년 같은 달 대비)를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이후 증가율이 주춤하면서 올해 1월 현재는 7.5% 수준이다. 연 4~5% 수준인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경상성장률)을 웃도는 부채 증가율이긴 하지만 전반적인 흐름은 점차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임기 내 가계부채 비율을 150%로 낮추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