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사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사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인들은 28살이 되면 쓰는 돈보다 일해서 번 돈이 많은 흑자 상태에 진입하고, 정년을 앞둔 59살부터는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은 적자 상태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국민이전계정’을 보면, 1인당 생애주기 상으로 0살부터 27살까지는 적자, 28살부터 58살까지는 흑자, 59살부터는 다시 적자 삶을 산다. 전체 인생에서 31년 동안만 수입이 소비보다 많고, 나머지 기간에는 수입이 없거나 줄어들어 쓰는 돈이 더 많다는 뜻이다.

2016년보다는 흑자 진입 나이가 1살 늘었고, 적자 전환 나이는 똑같아, 총 흑자인생 기간은 1년 줄었다. 통계청은 전반적으로 노동시장 진입 연령이 늦어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광고

1인당 소비는 교육비 지출이 많은 6~17살 연령대가 많고, 16살에서 3215만원으로 최대를 기록했다. 1인당 노동소득은 45살에서 335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생애주기 적자 총량은 전년보다 7.1% 증가한 118조2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소비는 전년보다 4.9% 늘어난 999조2천억원이고, 노동소득은 4.6% 늘어난 881조원이다. 소비 증가폭이 노동소득 증가폭보다 더 커 생애주기 적자규모가 늘어난 것이다.

광고
광고

연령별로는 유년층(0~14살)이 135조7천억원 적자이고, 노년층(65살 이상)은 94조6천억원 적자였다. 노동연령층(15~64살)은 112조1천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노동연령층이 번 수입은 세금 등을 통한 복지시스템(공공이전)과 가족 간 부양(민간이전)을 통해 유년층과 노년층에게 배분된다. 공공·민간이전을 합쳐 유년층에게는 137조6천억원이 이전됐고, 노년층에게는 78조7천억원이 이전됐다.

광고

유년층은 민간이전이 76조8천억원, 공공이전이 60조7천억원으로, 민간이전이 더 많다. 반면 노년층은 공공이전 규모(64조5천억원)가 민간이전(14조3천억원)보다 4.5배 많다. 가족 등 사적 부양보다 국가의 복지제도가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이전계정은 빠르게 진행되는 저출생·고령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재정 운용 및 세대 간 재정부담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발표됐다. 통계청은 내년부터는 통계 대상 시기와 발표 시점간 발생하는 시차를 2년으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