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구주가 생산연령인구(15~64살)인 유배우 가구 가운데 맞벌이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영업자 가구의 맞벌이 비중이 늘어난 탓으로 풀이된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2018년 하반기)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전국 1224만5천 가구로 이 가운데 맞벌이는 567만5천 가구로 집계됐다. 맞벌이 가구는 전년 대비 21만9천 가구 증가해 전체 유배우 가구의 46.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7%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특히 가구주 연령이 생산연령인구에 해당하는 가구 가운데 맞벌이 비중은 전년보다 2.0%포인트 증가한 51.3%로 역대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경력단절 여성 지원 등 정책 효과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점 높아지는 동시에 자영업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 맞벌이가 늘어난 효과가 함께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구주가 종사하는 직업별로 살펴보면, 자영업 가구의 맞벌이 비중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가구주가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경우 맞벌이 비중은 83.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도소매·숙박음식점업(62.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56.8%), 광·제조업(52.2%) 순이었다. 특히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전년에 비해 맞벌이 가구 비중 3.3%포인트 늘어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가구주가 경영하는 사업체나 농장 등에서 일손을 돕는 무급가족종사자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하반기 가구주가 비임금근로자인 경우 배우자도 마찬가지 비임금근로자인 경우는 23만9천 가구(11.8%)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부부가 자영업을 운영하는 맞벌이인 셈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가구주가 40~49살인 가구의 맞벌이 비중이 54.2%로 가장 높았고, 이어 50~64살인 가구 50.5%, 30~39살 가구 49.9% 순이었다. 사교육비, 노후준비 등 생애주기상 가구의 소득이 집중돼야 할 시기에 맞벌이 비중이 높은 셈이다. 또 연령대별 맞벌이 비중은 자녀의 교육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가구의 맞벌이 비중은 44.5%에 불과했지만, 자녀가 초등학교에 재학할 경우 54.0%로, 중학교 재학은 60.3%, 고등 이상 재학은 60.8%로 점점 늘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 영향으로 맞벌이 부부의 취업시간은 모두 줄었다. 남성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8시간, 여성은 39.0시간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1.5시간, 1.3시간 줄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전체 1인 가구는 578만8천 가구로 이 가운데 취업자인 1인 가구는 10만6천 가구 증가한 353만7천 가구(61.1%)로 나타났다. 남성 취업자가 204만1천 가구, 여성이 149만6천 가구로, 남성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50~64살의 취업자 1인 가구가 9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39살 81만5천 가구, 40~49살 72만8천 가구 순이었다. 그러나 전년 대비 증감률만 놓고 보면 65살 이상 고령층 1인 가구 가운데 취업자가 3만6천명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10.3%)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노후준비가 부족한 고령 1인 가구가 일손을 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을 강화한 점 등이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1인 가구의 소득 수준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비중도 함께 늘었다. 임금근로자인 1인 가구 가운데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31만5천 가구(11.3%)로 전년에 비해 2만 가구(0.3%포인트) 늘었다. 반면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중은 4.6%포인트 줄었고, 200만~300만원 미만인 가구가 2.4%포인트, 300만원 이상인 가구는 2.0%포인트 늘었다. 전체 1인 가구의 소득 수준이 나아진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임금인 노인 일자리 등에 참여한 고령층 1인 가구들이 저소득층에 자리 잡은 현상으로 보인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