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쇼핑·소비자

인★ ‘핫플’ 케이크, 보기엔 예쁘지만… ‘포화지방’ 함량 보니

등록 2023-02-14 15:07수정 2023-02-14 20:10

소비자원, 서울·경기 핫플 카페 20곳 조사결과 발표
트랜스지방 ‘과다 함유’…영양성분 의무표시 사각지대
한국소비자원은 서울·경기 지역 핫플 카페 20곳에서 판매하는 도넛·케이크·크루아상 등 20개 제품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를 14일 밝혔다. 사진 인스타그램 갈무리. 
한국소비자원은 서울·경기 지역 핫플 카페 20곳에서 판매하는 도넛·케이크·크루아상 등 20개 제품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를 14일 밝혔다. 사진 인스타그램 갈무리. 

전국의 ‘빵순이·빵돌이’들에게 건강 적신호가 켜졌다. 에스엔에스 등에서 인기를 끄는 ‘핫플레이스’ 카페에서 파는 빵류의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 함량이 과도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서울·경기 지역 핫플 카페 20곳에서 판매하는 도넛·케이크·크루아상 등 20개 제품을 1회 섭취 참고량(70g)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트랜스지방은 평균 0.3g(최소 0.1~최대 0.6g), 포화지방은 평균 9g(최소 4g~최대 16g)에 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소비자원이 조사한 프랜차이즈 제과점 빵 평균 함량(트랜스지방 0.1g·포화지방 3g)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예를 들어, 조각 케이크 1개(268g)의 트랜스지방 함량은 1.9g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권고하는 하루 섭취 권고량(2.2g)의 86%에 달했다. 포화지방 함량은 50g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포화지방 하루 섭취기준(15g)을 3배나 초과했다.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은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심혈관질환과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트랜스지방은 2016년 시행 식품위생법 시행령에서 나트륨·당류와 함께 위해 영양성분으로 지정됐다. 트랜스지방은 식물성 유지를 고체 형태(경화유)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사용이 편리한데다 바삭한 식감과 고소한 맛을 내, 식품 제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소비자원은 “영양성분 의무표시 대상이 아닌 카페의 빵류의 경우, 상대적으로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며 “카페에서 빵류를 판매하는 사업자들에게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을 줄이고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약처에 교육·홍보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아야 합니다
끈질긴 언론,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윤 “세금은 나중에”…역대급 세수 위기에도 바이오대기업 감세 1.

윤 “세금은 나중에”…역대급 세수 위기에도 바이오대기업 감세

6월 개시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려면…12일 공시 금리부터 살펴야 2.

6월 개시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려면…12일 공시 금리부터 살펴야

[단독] 소득 하위 10%, 매달 적자 70만원…어르신 생계비 어쩌나 3.

[단독] 소득 하위 10%, 매달 적자 70만원…어르신 생계비 어쩌나

삼성 자가수리, 고작 3만원 아낀다고?…소비자 반응 ‘갸우뚱’ 4.

삼성 자가수리, 고작 3만원 아낀다고?…소비자 반응 ‘갸우뚱’

현대차·기아, 내비게이션으로 OTT 본다 5.

현대차·기아, 내비게이션으로 OTT 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한겨레 데이터베이스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탐사보도 | 서울&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사업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