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피레네 선사시대박물관에 설치되어 있는 메갈로케로스 모형. 위키피디아코먼스
프랑스 피레네 선사시대박물관에 설치되어 있는 메갈로케로스 모형. 위키피디아코먼스

신생대 홍적세에 번성했다가 멸종한 고대 사슴 ‘메갈로케로스’는 몸집도 컸지만, 그보다 거대한 뿔로 유명하다. 이 사슴은 어깨높이가 2m에 몸무게가 540~600kg, 뿔은 가로 길이가 3.5m에 달했다. 메갈로케로스(Megaloceros)라는 이름 자체가 그리스어로 거대한 뿔이라는 뜻이다.

메갈로케로스는 유럽과 북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살았으며 일부 화석은 중국에서도 발견됐다. 대부분의 화석이 아일랜드의 늪에서 발견됐고 복원한 모습이 현대의 말코손바닥사슴(엘크)과 비슷해 ‘아이리시 엘크’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노루아과에 속하는 말코손바닥사슴과 달리 사슴아과로 분류된다.

메갈로케로스는 진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다양한 연구 소재가 되어왔다. 멸종이라는 개념을 연구하도록 한 동물이자, 정향진화설(한 생물이 자연선택이나 성 선택이 아닌 내재적 요인으로 더 완벽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가설)의 대표적 사례로 꼽혀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메갈로케로스의 뿔이 왜 이렇게 크게 자랐는지, 왜 멸종하게 되었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광고
아일랜드 더블린의 국립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메갈로케로스 화석. 사진 아일랜드 국립자연사박물관 제공
아일랜드 더블린의 국립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메갈로케로스 화석. 사진 아일랜드 국립자연사박물관 제공

다만, 1970년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 박사와 그와 함께 연구한 과학자들은 메갈로케로스와 다른 사슴과 동물들의 뿔을 비교 분석한 뒤 메칼로케로스의 몸집과 뿔의 성장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내놨다. 이들은 사슴의 어깨높이와 뿔의 크기를 데이터화했는데, 사슴의 몸 크기와 비례해 뿔이 자랐으며 몸이 자라는 속도보다 뿔이 자라는 속도가 더 빨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진화학자들은 이를 우성장(Positive allometry)의 대표적인 예로 꼽았다. 우성장은 생물의 전체 성장에 비해 어느 한 부분이나 기관이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노르웨이 연구자들이 굴드 박사의 주장이 일부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오슬로대학 토마스 한센 교수와 연구진은 “메갈로케로스를 비롯한 57개 분류군 사슴과의 뿔 크기, 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 지금껏 메갈로케로스의 뿔 부피를 17.5ℓ로 추정한 것과 달리 이 고대 사슴의 뿔 부피는 평균 25.5ℓ로 150%나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화생물학저널 최신호에 밝혔다. 또 연구진은 굴드 박사와 과거 연구진이 사슴 뿔에서 발견한 우성장 개념은 이번에도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이것이 메갈로케로스만의 독특한 진화라기보다는 사슴과 전체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광고
광고

한센 교수는 “굴드 박사가 완전히 틀렸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당시 연구진이 이용한 데이터와 분석법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굉장히 부정확하다”며 “단순히 사슴뿔의 길이만 측정한 것 등이 그러한 예”라고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사슴뿔의 길이가 아닌 부피로 전체 크기를 가늠했다.

여전히 굴드 박사의 가설이 유효하다고 보는 연구자도 있는 가운데, 메갈로케로스가 왜 약 7700년 전에 멸종했는지도 향후 풀어야 할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뿔이 생존에 방해되었을 것이란 주장과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했을 것이란 주장 등이 혼재하는 상황이다. 전자의 경우 뿔이 점점 커지면서 나뭇가지에 뿔이 걸려 서식지가 변화했을 것이고, 식생도 달라졌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한센 박사는 “현생 사슴 가운데 메갈로케로스처럼 몸집이 거대하지만, 뿔은 그보다 훨씬 작은 말코손바닥사슴이 ‘뿔 미스터리’를 풀 단서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