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송파구의 한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방역복을 입은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30일 0시 기준 이 시설에선 총 61명이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28일 서울 송파구의 한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방역복을 입은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30일 0시 기준 이 시설에선 총 61명이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으로 동일집단 격리(코호트 격리) 조처가 취해진 서울 송파구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해 장애인단체들이 “거주자들의 생존권이 침해되고 있다”며 목소리를 냈다.

30일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설 내 코호트 격리는 거리두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감염위험을 높이고 확진자의 온전한 치료를 보장하기 어렵다”며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송파구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한 코호트 격리를 중단하고 ‘긴급 분산조치’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적장애인 114명이 거주하고 직원 63명이 근무하는 해당 시설은 지난 25일 최초 확진자 5명이 나온 이후 이날 0시 기준 총 61명이 확진판정을 받은 상태다. 방역당국은 시설을 봉쇄하고 확진자들은 병원으로 이송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돌봄인력 확보 문제 등으로 병상 배정엔 시간이 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브리핑을 통해 “송파구 장애인 거주시설 관련 확진자 61명 중 병상이송 대기 중인 확진자는 30명”이라고 밝혔다.

광고

이진희 장애여성공감 공동대표는 “애당초 장애인 거주시설이 집단감염에 취약한 구조로 돼 있다”며 “코호트 격리 이후에도 6명이 한 방을 사용하거나 확진자 숫자 등 정확한 정보를 듣지 못하는 등 되레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서울시 역학조사 결과 해당 시설은 한 호실당 12∼15명이 24시간 함께 생활했던 데다 거실과 샤워실을 공동으로 사용해 바이러스 전파에 취약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월 국내 코로나19 첫 사망자가 나왔던 청도대남병원도 매트리스 간격이 한두뼘에 불과하고 장기간 폐쇄병동 생활로 환자들의 면역력이 약해져 있는 등 열악한 환경이 지적된 바 있다. 당시 입원환자 103명 중 확진자는 101명에 달했고 그중 7명이 숨졌다.

장애인단체는 “확진자뿐 아니라 비확진자에 대해서도 임시 거주공간을 제공하고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갈 때까지 장애인 거주시설에 집합금지명령 수준의 지침을 내려야 한다”고 말한다. “코로나19 국면이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대규모 집단감염을 일으키는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해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진희 대표는 “(송파구 장애인 거주시설에) 긴급 분산조치를 시행하는 것으로 서울시와 협의를 마쳤다”며 “방대본의 최종 승인이 필요한 단계”라고 전했다.

광고
광고

박윤경 기자 ygpark@hani.co.kr

코로나19 3차 유행
코로나19 3차 유행
602
화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