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시민사회와 종교계가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전 세계 서명운동에 나선다.
참여연대, 한국종교인평화회의,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170여개 종교‧시민단체들은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사회 중심의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4‧27 판문점 선언으로 돌파구가 열렸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답보하더니 최근에 와선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정부의 ‘톱다운’ 방식에만 맡겨두지 말고 시민이 직접 평화의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각국 정부가 선언한 내용을 실천하기보다 적대정책을 펼치며 갈등을 굳혀왔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방적인 태도로 압박을 통해 상대를 굴복시키려는 관성이 협상의 진전을 가로막고 있다. 한미 정부는 문제 해결보단 제재와 봉쇄를 유지하는 데 더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주최 쪽은 정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7월27일까지 한국전쟁 종식‧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전 세계 서명운동 등의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실제로 한국전쟁이 지속됐던 3년여 시간 동안 오랜 기간 지속돼온 갈등을 끝내고 평화를 구축하자는 의미다. 황수영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은 “온‧오프라인 서명운동으로 전 세계 1억명 이상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시민들의 힘으로 남·북·미 등 한국전쟁 관련국 정부가 종전을 택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선 평화의 첫걸음으로 대북 인도지원을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강자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는 “코로나19로 북한의 방역, 진단키트 수급 상황 등이 더욱 우려된다”며 “대북 인도지원을 놓친다면 종전, 평화 등의 목표도 모두 잃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 지난해 1월엔 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의 대북 지원이 무산되면서 한미워킹그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대상이 아닌 인도적 사업에까지 개입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윤경 기자 yg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