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
여군 대상 불법합성물 텔레그램 채널서 여성 군인을 ‘군수품’으로 비하하며 참가자들에게 피해자 이름, 계급, 휴대전화 번호, 인스타그램 아이디, 나이, 군복 입은 사진, 일상 사진, 성희롱글 등을 요구하는 모습. 한겨레 자료.
여군 대상 불법합성물 텔레그램 채널서 여성 군인을 ‘군수품’으로 비하하며 참가자들에게 피해자 이름, 계급, 휴대전화 번호, 인스타그램 아이디, 나이, 군복 입은 사진, 일상 사진, 성희롱글 등을 요구하는 모습. 한겨레 자료.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지역·학교 등으로로 세분화·체계화 된 불법합성물(딥페이크) 제작·유포 성범죄가 잇따라 드러나는 가운데, 여성 군인을 대상으로 한 불법합성물 텔레그램 채널까지 운영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개인 에스엔에스(SNS)에 있는 일상 사진뿐 아니라 군 내부망에서나 볼 수 있는 증명사진 등이 활용되고 있어 불법합성물 제작에 군 내부자가 연루됐을 개연성이 커 보인다.

이 밖에도 여성 교사와 간호사 등 특정 직역을 대상으로 한 채널도 다수 확인돼, 공적·사적 영역을 가리지 않고 여성을 대상화하는 성차별적 관점이 텔레그램과 딥페이크 기술을 만나 심각한 범죄로까지 비화하는 모양새다.

광고

피해자 육·해·공 최소 30여명

한겨레가 26일 제보자를 통해 확인한 여군 대상 불법합성물 텔레그램 채널은 지난 8일부터 운영됐고 운영자만 20명 이상이며 참가자 수는 850여명이다. 공지글에서 운영자는 여성 군인을 ‘군수품’으로 비하하며 참가자들에게 피해자의 이름, 계급, 휴대전화 번호, 인스타그램 아이디, 나이, 군복 입은 사진, 일상 사진, 성희롱글 등을 요구했다. 참가자들이 운영자의 개인 텔레그램으로 사진을 전달하면 이를 합성해 다시 단체방에 유포했다. 피해자는 육·해·공군에 속한 30여명으로 추정된다. 이런 방은 수시로 폭파됐다 다시 만들어지고 있어 피해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운영자는 텔레그램 채널에서 중대장, 소대장, 부소대장 등 피해자의 지위를 언급 한 뒤 “그녀들이 우월감을 갖는 이유는 군복을 입기 때문”이라며 여성 군인들을 성적 대상화하는 식으로 가해자들의 참여를 부추겼다. 피해자의 불법합성물을 이모티콘으로 제작해 배포하는 등 범죄 행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속됐다. 

광고
광고

피해자의 증명사진이나 공무원증 사진, 동료 군인들과 훈련 도중 찍은 듯한 사진도 불법합성에 활용됐다. 김숙경 군인권센터 군성폭력상담소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런 사진은 개인이 에스엔에스에 올리지 않는 이상 군 인트라넷에서나 구할 수 있는 사진”이라며 “군 간부나 부사관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인데 가끔 일을 시키기 위해 행정병(병사)에게도 접근 권한을 주기도 한다. 군이 의지만 있다면 인트라넷 접속 현황 등을 파악해 가해자를 색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번방처럼…특정 직업군 여성 성적대상화

여성 군인뿐만 아니라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세분화 된 불법합성물 채널도 여럿 존재했다. ‘여교사방’, ‘간호사방’ 따위의 이름으로 교사, 간호사도 불법합성물 성범죄의 표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여성 운동 선수를 표적으로 삼은 텔레그램 방도 존재했다. 다만 이들 불법합성물 제작·유포 방은 이날 대부분 비공개 상태로 확인됐다. 불법합성물 성범죄가 사회적 문제가 되기 시작하자 방을 감추기 시작한 걸로 보인다. 여군 대상 불법합성물 채널도 전날부터 비공개로 전환됐다. 

광고

과거 엔(n)번방 사건 때도 군인·경찰·교사 등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채널이 성행했는데, 이번 불법합성물 성범죄도 같은 양상으로 흘러가는 모양새다. 최근엔 여동생·누나·사촌 등 가족을 범죄 대상으로 삼았다는 ‘가족방’ 등도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김수정 한국여성의전화 여성인권상담소 소장은 “일상뿐 아니라 공적 영역에서도 여성을 동등한 존재로 보지 않는 성차별적 관념이 작동한 탓”이라며 “기존 디지털 성범죄에도 특정 직업군의 여성을 성적 대상화 하는 구조가 만연했는데, 이것이 딥페이크 기술을 만나 피해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라고 짚었다. 김숙경 소장은 “군 내 성범죄가 반복해서 일어나는 이유는 여군을 동료가 아닌 ‘여성’으로 보는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며 “특히 군은 폐쇄적이기 때문에 자정 능력이 없다. 국방부나 군이 성범죄에 강력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이런 일은 또다시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겨레 자료.
한겨레 자료.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

한겨레는 디지털 성범죄 방지를 위해 끈질기게 취재합니다. 
[추적보도 https://campaign.hani.co.kr/deepfake]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