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높은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지역사회에서도 점차 늘기 시작하면서 변이 대처가 다가올 ‘4차 유행’의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주류가 되기 전에 백신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해 12월 국내에서 처음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보고된 뒤 여태껏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는 모두 182건이다. 최근 부산 장례식장·울산 골프연습장, 경기 광주시 식품회사 등 5건의 집단감염 사례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는 등 모두 10건의 지역사회 집단감염이 변이 바이러스와 연관됐다. 경기 김포시 일가족 관련 집단감염 사례에서는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가 처음 확인되기도 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감염내과)는 “경기, 인천, 부산 등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지역이 다 다르다. 발견된 사례는 빙산의 일각이고, 수도권과 부산 지역에 이미 퍼졌다고 봐야 한다. 4차 유행으로 올라서는 ‘티핑 포인트’(임계점)는 변이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확산”이라고 내다봤다.
방역당국은 경로를 알 수 없는 변이 바이러스의 집단감염이 누적돼, 점차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되는 상황을 우려한다. 전 국민 70%에게 백신을 접종해 11월 집단면역을 형성한다는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서다. 변이 바이러스는 집단면역에 필요한 항체 형성률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강한 전파력 때문에 집단면역을 위해 더 많은 사람에게 접종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높을 뿐 아니라 현재 개발된 백신의 효능이 제대로 듣지 않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남아공 변이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예방 효과가 10% 수준에 불과하다’거나 ‘모더나 백신은 12.4분의 1로, 화이자 백신은 10.3분의 1로 효과를 줄였다’ 등의 연구 결과가 있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전에 백신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감염내과)는 “변이 바이러스가 주류가 되면 변이에 효과가 있는 백신을 재접종해야 하는데, 기존 백신 접종력이 있는 사람이 다수여야 재접종에 대응하기가 쉽다”고 말했다.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은 추가로 한번을 더 맞으면 되지만, 아예 접종하지 않은 사람은 두 차례 접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방 효과는 떨어지지만 중증으로 진행하는 정도를 늦춰주는 효과는 여전히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결국 관건은 변이 바이러스 전파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방역당국은 9일 브리핑에서 “계약한 제약사별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된 추가 연구·개발”로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백신 도입을 추진하는 한편, 대규모 차세대 유전자검사로 변이 바이러스 확인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46명 발생했다. 경기도 안성 축산물 가공처리장, 광주 서구 콜센터 등 제조업 사업장뿐 아니라 사우나, 어린이집, 병원 등에서의 감염이 이어졌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