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등 분석 통한 예측 첫 개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자료와 자살 관련 사회적 지표를 통해 ‘자살 예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됐다.
김도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소셜미디어 분석업체인 다음소프트와 공동으로 국내에서 자살 예보 시스템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8년 1월~2009년 12월 국내 자살 통계와 에스엔에스에서 나타나는 자살 관련 단어의 빈도를 비교해 두 자료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자살률이 높아질 때 에스엔에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용어는 ‘힘들다’와 ‘자살’ 등 자살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연구팀은 또 약 1억5000만건에 달하는 에스엔에스 분석 자료와 함께 그동안 자살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물가, 실업률, 주가지수, 일조량, 기온, 유명인 자살 등 자살 관련 사회적 지표를 함께 분석했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통해 만들어진 자살 예보 시스템을 2010년 실제 자살 통계치에 대입한 결과 예측된 자살 건수와 실제 자살 건수의 일치도가 약 79%에 달했다.
자살 관련 요인을 추가해 예측 정확도를 90%대까지 끌어 올리면 자살이 증가할 상황이 됐을 때 국가적으로 자살주의보나 경보 등을 내려 자살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판단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경찰이 타이르기만 한 스토킹범죄…‘호러물’보다 끔찍한 결말
■ “싸이, 미안해요” 이탈리아 축구팬들 사과
■ CJ 압수수색 다음날 회장집에 도둑 들어
■ “자동차 급발진 원인 부품 찾았다”
■ [화보] 칸 영화제 폐막…영광의 주인공은?
■ 경찰이 타이르기만 한 스토킹범죄…‘호러물’보다 끔찍한 결말
■ “싸이, 미안해요” 이탈리아 축구팬들 사과
■ CJ 압수수색 다음날 회장집에 도둑 들어
■ “자동차 급발진 원인 부품 찾았다”
■ [화보] 칸 영화제 폐막…영광의 주인공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