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4개 국립대병원의 교수 사직 규모가 정부 주장과 달리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해 전체의 80%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반기 수련을 지원한 전공의 수는 모집 인원의 1%대에 그쳐, 의료 공백으로 인한 불편과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1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취합한 전국 14개 국립대병원의 ‘교수 사직 현황’을 보면, 올해 1~6월 교수 사직자는 223명으로 지난해 전체(280명)의 79.6%였다. 7~8월엔 2학기 개학을 앞두고 이직이 많은 만큼, 올해 전체 사직자 규모는 예년을 크게 웃돌 것으로 보인다. 환자 진찰부터 수술 집도, 전공의 교육까지 맡는 의대 교수는 병원 진료 역량의 핵심이다. 이에 병원 쪽에선 이들의 이탈 여파가 전공의 사직에 견줘 훨씬 크다고 우려한다.
정부는 의대 교수 이탈 규모를 축소하기에 급급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달 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대학병원에서) 퇴사 숫자는 예년에 비해 크게 변동되지 않았고 (사직 이유는) 개인적인 사유가 많은 것 같다”며 “(사직자들이) 교수라고 명칭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상 이야기하는 전임교수가 아니라 병원에서 채용하는 계약직 의사들”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임명한 정교수인 ‘겸직교수’ 상반기 사직자도 17명으로 지난해 전체(29명)의 58.6%에 이른다.
여기에 미래의 전문의인 전공의들도 복귀하지 않고 있어 ‘의료 공백 장기화’ 위험이 코앞에 닥쳤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지난달 31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이 9월부터 일할 전공의 7645명을 모집했지만 인턴 13명, 레지던트 91명 등 104명(1.4%)이 지원하는 데 그쳤다. ‘빅5’(삼성서울·서울대·서울성모·서울아산·세브란스) 병원에도 45명만 지원했다. 정부는 8월 초 추가 모집하겠다지만, 이마저도 실효성이 없다는 게 의료계 전망이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