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를 놓고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증원 절대 불가’를 고수하는 의협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의사들도 있다. 의협이 전체 의사 입장을 고르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의료계 내부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의협이 올해 1월 공개한 의사 회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18%가량이 의대 증원에 찬성했다.
의대 증원에 찬성한다고 밝힌 의사 ㄱ씨는 26일 한겨레와 통화에서 의사 다수가 증원에 반대하는 상황에서 공개적으로 찬성 의견을 밝히기가 부담스러운 분위기가 있다고 설명했다. 의협은 지난해 의사 증원을 주장해온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의료관리학)에 대해 “(의협이) 돈 많은 개원의를 대변해온 것으로 호도하고, ‘밥그릇 지키기’ 등 표현을 사용해 의사 전체 명예를 훼손했다”며 징계 절차에 들어갔다. 의협은 지난 21일 일간지 한 곳에 “교수님! 제자들이 왜 그러는지는 아십니까?”라는 문구를 넣은 광고를 게재했다. 당시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해당 광고 논의할 때 의대 증원에 찬성하는 김윤 교수의 이름이 거론됐다 빠졌다”고 설명했다. 최근엔 일부 의협 인사가 김 교수 아들은 의사가 아님에도 “미국에서 의사를 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60대 의사 ㄴ씨는 “의협 회원 중 평소 의료정책 현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며 “의대 증원 같은 쟁점이 생겼을 때 (차기 의협 회장 출마 등)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일부가 이슈를 극단적인 대립으로 몰고 가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더구나 의협 집행부가 개원의 이해관계를 과도하게 대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원의 ‘회비 납부율 향상 방안’ 보고서를 보면, 2020년 기준 65살 이상 개원의 86%(개원의 전체 68%)가 회비를 내고 있다. 의협 회원은 회비를 내야 임원 선거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개원의 회비 납부율은 전체 회원 평균(67%)을 웃돈다.
이런 까닭에 이사회 구성을 개원의·봉직의·전공의·교수 등 직역이나 병원·의원 등 소속 의료기관에 따라 배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ㄴ씨는 “같은 병원이라도 규모에 따라 이해관계가 다르다”며 “의협 이사회를 의대 교수, 병원·의원 대표 등 다양하게 구성하면 일부 강경파가 단체를 좌우하는 구조를 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