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국제통화기금(IMF) 관리 체제로 들어간 지 10개월만인 1998년 9월28일, 김대중 대통령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경제 특별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김 대통령은 그동안 추진한 고강도의 긴축과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면서, 경기 부양 정책으로 기조를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국 경제가 국제통화기금(IMF) 관리 체제로 들어간 지 10개월만인 1998년 9월28일, 김대중 대통령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경제 특별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김 대통령은 그동안 추진한 고강도의 긴축과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면서, 경기 부양 정책으로 기조를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1998년 9월2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김대중 대통령의 ‘경제 특별기자회견’은 여러모로 특별했다. 이날 기자회견엔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은 물론이고 14명의 경제·사회 부처 장관들이 모두 배석했다. 그해 6월5일 ‘취임 100일 내외신 기자회견’을 했는데, 불과 석 달 만에 큰 규모의 기자회견을 다시 여는 것도 이례적이었다. 김 대통령은 20개 가까운 기자들의 질문을 모두 받았다. 회견은 예정시간을 넘겨 2시간 남짓 계속됐다. 이렇게 긴 시간 회견을 하는 게 자주 있는 일은 아니었다.

더 ‘특별한 것’은 다른 데 있었다. 바로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노트다. 언제나 그렇듯 김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앞두고 국정노트를 작성했다. 회견에서 나올 예상 질문과 답변을 노트에 빼곡히 정리했는데, 그 분량이 15장이었다. 재임 5년간 27권의 국정노트를 썼지만, 한 사안에 관해 이렇게 많은 분량을 쓴 건 경제 특별기자회견이 유일했다. 대통령은 이 기자회견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초긴축·고금리, 구조조정으로 대변되는 국제통화기금(IMF) 프로그램으로 실업과 경기 침체의 고통이 온 국민의 가슴을 짓누르던 시기였다. ‘경제 특별’이란 수식어를 앞에 붙인 것도, 한국 경제가 아이엠에프(IMF) 관리 체제로 들어간 지 10개월 만에 이에 관한 정부의 평가와 입장을 공식 표명하는 자리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