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이르면 4일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할 장관들을 중심으로 중폭 이상의 개각을 할 예정이다. 지난 30일 대통령실 참모진 개편에 이어 ‘총선 투입’을 계기로 취임 뒤 가장 큰 폭의 인적 교체에 나서는 것이지만, 또 다시 ‘서오남(서울대·50대·남성)’ 중심의 인재 풀 한계를 드러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3일 공식 일정 없이 개각 구상을 이어갔다. 그는 지난달 29일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 참패 직후 대국민 사과를 한 뒤 공식 일정을 자제해왔다.
개각 대상으로 기획재정부(추경호), 국토교통부(원희룡), 국가보훈부(박민식), 농림축산식품부(정황근), 중소벤처기업부(이영), 해양수산부(조승환), 금융위원회(김주현) 등이 거론된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총선 출마로 생기는 공백을 메우는 차원이다. 새 기재부 장관과 금융위원장 후보에는 각각 최상목 전 대통령실 경제수석과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내정된 상태다. 국토부 장관에는 박상우 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과 심교언 국토연구원장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해수부 장관 후임에는 송상근 전 해수부 차관과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유력한 상황이다. 중기부 장관 후보로는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와 함께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도 거론되고 있다. 지난 9월 취임한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총선에 차출될 경우, 산업부 또한 개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개각을 앞두고 꾸준히 ‘40대 여성’ 등 다양성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도 ‘서오남’ 중심의 인사들이 주로 발탁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총선을 앞두고 인사청문회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관료형을 선호하면서 ‘다양성’은 또 다시 뒷전으로 밀리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총선용 개각”이라며 “굳이 외부에서 새로운 장관을 쓴다기보다 관료나 전문가 등 실용적인 인물 발탁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여권 관계자 또한 “총선 전 ‘정국 관리용’으로 안정에 방점을 찍고 있다”고 전했다.
여당이 ‘총선 간판’으로 기대하고 있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쓰임새에 대한 고민을 거쳐 연말 추가 개각이나 연초 ‘원포인트’ 인사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 장관의 후임으로는 길태기·박성재 전 서울고검장이 검증 중인 가운데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도 최근 부상하고 있다. 지난 1일 탄핵소추안 처리 직전 이동관 위원장의 사퇴로 공석인 방송통신위원장과, 인사 파동 속 지난달 26일 경질된 김규현 원장 경질로 공석인 국가정보원장 또한 연내 후임자를 지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성가족부는 김현숙 현 장관의 유임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편 대통령실 새 국정상황실장에는 조상명 사회통합비서관이, 새 대변인에는 김수경 통일비서관이 각각 임명돼 이날부터 근무를 시작했다. 조 국정상황실장은 행정고시 36회로,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 등을 지냈다. 김 대변인은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고려대 연구교수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지냈으며,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지난 7월 통일비서관으로 임명됐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