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김종필 전 국무총리 별세 … 마지막 ‘3김’ 떠나다

등록 2018-06-23 10:39수정 2018-06-23 13:22

23일 오전 자택서 숨져…향년 92
‘처삼촌’ 박정희 5·16 쿠데타 가담
2004년 자민련 총재로 정계 은퇴
김종필 전 국무총리. 한겨레 자료사진
김종필 전 국무총리. 한겨레 자료사진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92.

김 전 총리의 측근은 <한겨레>에 “김 전 총리가 오늘 오전 8시15분께 자택에서 별세하셨다”고 밝혔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중구 청구동 자택에서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심폐소생술을 받았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숨졌다.

지난 1926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난 김 전 총리는 공주중·고등학교와 서울대 사범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35살이던 1961년 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한 뒤, 63년 6대 국회부터 9선을 쌓았다. 1979년 신군부의 등장으로 일체의 정치 활동을 금지당하기도 했으나, 신민주공화당 창당(1987년), 3당 합당(1990년), 민자당 탈당 및 자유민주연합 창당(1995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공조(1997년) 등을 통해 ‘3김’ 가운데 마지막까지 현실정치의 한자리를 차지해 왔다. 박정희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 시절 각각 국무총리를 지냈다.

김 전 총리는 고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한때 '3김(金) 시대'를 이끌기도 했다. 2004년 자민련 총재를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하며 “43년간 정계에 몸담으며 내 나름대로는 완전 연소해 재가 되도록 탔다”며 “원하든 원하지 않든 세상은 변했다. 노병은 죽지는 않지만 조용히 사라지는 것”이라고 소감을 남겼다.

유족으로는 아들 진씨, 딸 예리씨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에 차려지며 5일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화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아야 합니다
끈질긴 언론,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세슘 우럭’ 우리 바다까지 올 일은 없다? [공덕포차] 1.

‘세슘 우럭’ 우리 바다까지 올 일은 없다? [공덕포차]

“민주당 과반 의석 줬더니, 자기 이익만 챙겨” 등 돌린 지지자 2.

“민주당 과반 의석 줬더니, 자기 이익만 챙겨” 등 돌린 지지자

중국 외교부도 ‘말폭탄 외교전’ 가세…한-중 갈등 급격히 악화 3.

중국 외교부도 ‘말폭탄 외교전’ 가세…한-중 갈등 급격히 악화

폭력보다 위협적인 ‘카드 값’…국가안보에 짓눌린 ‘일상 전쟁’ 4.

폭력보다 위협적인 ‘카드 값’…국가안보에 짓눌린 ‘일상 전쟁’

“중 패배에 베팅하면 후회” 이재명 만난 중국대사, 윤 정부 직격 5.

“중 패배에 베팅하면 후회” 이재명 만난 중국대사, 윤 정부 직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한겨레 데이터베이스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탐사보도 | 서울&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사업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