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오창섭의 간판속세상] 죽음의 강을 건너는 고물의 희망가

등록 2010-03-17 18:16

서울 금천구의 ‘장은 고물상’
서울 금천구의 ‘장은 고물상’
일반적으로 고물상 안은 어수선하고 더럽다. 그래서인지 오늘날 고물상을 도심에서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되어버렸다. 고물상은 죽음의 공간이다. 사연 많은 상처들로 성한 곳을 찾아보기 어려운 물건들이 죽음을 기다리는 곳이 바로 고물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물상은 생명의 공간이기도 하다. 죽음의 어둠을 뚫고 새로운 부활을 향한 욕망들이 이곳저곳에서 꿈틀댄다. 그 욕망은 이전 이름과 기능의 삭제, 그리고 ‘고물’이라는 새로운 이름의 취득으로 싹을 피운다. ‘고물’은 새로운 탄생을 위해 기꺼이 죽음의 강을 건널 수 있는 용감한 사물들에 부여되는 영광스러운 이름이다. 고물은 몸으로 말한다. 새로운 삶을 꿈꾸는 모든 것들은 바로 그 죽음의 강을 건너야 한다고!

오창섭 건국대 디자인학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아야 합니다
끈질긴 언론,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자제력 잃은 공권력이 가져올 비극 [박찬수 칼럼] 1.

자제력 잃은 공권력이 가져올 비극 [박찬수 칼럼]

35분 이어진 장광설…윤 대통령 ‘복지관’이 위험한 이유 2.

35분 이어진 장광설…윤 대통령 ‘복지관’이 위험한 이유

[사설] 한동훈 개인정보 유출에 국회·언론 압수수색, 도 넘었다 3.

[사설] 한동훈 개인정보 유출에 국회·언론 압수수색, 도 넘었다

[사설] 상속세는 공정한 자본주의 최후 보루, 흔들기 멈춰야 4.

[사설] 상속세는 공정한 자본주의 최후 보루, 흔들기 멈춰야

[양희은의 어떤 날] 59년 만에 아버지를 현충원에 모셨다 5.

[양희은의 어떤 날] 59년 만에 아버지를 현충원에 모셨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한겨레 데이터베이스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탐사보도 | 서울&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사업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