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강제노동’ 등 강제성이 빠진 것은 일본의 ‘역사부정론’ 때문이다.”
일본 내 조선인 강제동원 전문가 다케우치 야스토(67) 역사 연구가는 29일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전시에서 조선인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 등을 알리면서도 ‘강제동원’, ‘강제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서 역사부정론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 영향을 줬다”며 “2010년대 들어 일본 정치에선 한반도의 식민지배가 합법이고 그 바탕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동원도 문제가 없다는 인식이 강해졌다”고 강조했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30년 넘게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를 하고 있으며 ‘조사 조선인 강제노동’ 등의 책을 썼다. 지난해 한국 민족문제연구소와 일본 시민단체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가 공동으로 진행한 ‘사도광산 조선인 강제동원’ 조사에도 참여했다.
그는 “아베 신조(1954~2022) 정권 때부터 본격화된 ‘역사부정론’이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정부에서 계속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2018년 한국 대법원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이 나왔지만 무시로 일관하고, 강제성을 없애기 위해 ‘징용공’ 대신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표현을 바꾸기까지 했다. 2021년 4월엔 각의(국무회의)에서 ‘강제노동’이 부적절하다고 결정해 이후 모든 일본 교과서에서 ‘강제’가 사라졌다. 지난 1월엔 우익단체의 문제 제기로 법적 소송까지 가면서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가 20년 만에 철거됐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한국 정부가 강제성이 빠진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해 준 것에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북한·중국 문제 때문에 윤석열 정부도 미·일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향해 가고 있다”며 “이번 사도광산이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과 관련한 제3자 변제(일본 기업 대신 한국의 재단이 강제동원 피해 배상금을 주는 방안)가 그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보정책에 밀려 피해자의 존엄 회복이 무너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8일부터 사도섬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일부 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전시도 ’강제성’을 분명히 하는 것 이외에 추가적 조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사도광산 조선인 피해자들의 증언이 영상이나 구술로 남아 있다. 이들의 직접적인 목소리도 전시에 넣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시 장소에 대해서도 “향토박물관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가장 많이 가는 ‘키라리움 사도’(사도광산의 최신 안내시설)와 실제 갱도에 들어갈 수 있는 ‘관광 코스’ 안내판에 조선인 강제동원의 실태와 규모 등 전체적인 개요 정도는 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니가타현과 사도광산 관리업체인 골든사도가 꼭꼭 숨기고 있는 조선인 강제동원 명부도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니가타현립 문서관에 있는 사도광업소 ‘반도 노무자 명부’를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 여기엔 강제동원 조선인 이름, 주소, 이동상태 등이 적혀 있다”며 “조선인 노동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1차 문서다. 한국 정부도 유족 등을 위해서 일본에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케우치 연구가는 마지막으로 “세계유산은 평화와 연대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며 “사도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동원을 인정하는 것이 평화의 시작이고 유네스코의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