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IT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등록 2022-07-25 09:00

AI 창작도구의 예술계 영향


‘컴퓨터하는 이집트 동물신’
‘쇼핑하는 기린’ 등 글쓰면
인공지능이 이미지샘플 제시
월 15달러에 460개 사용가능
삽화 등 상업적 활용도 가능
디자이너 ‘AI 활용능력’ 중요
인공지능이 문장에 어울리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도구는 예술 창작의 도우미일까 , 파괴자일까 . 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조직인 오픈에이아이 (Open AI) 가 올해 초 자연어처리모델 (GPT-3) 과 이미지인식 기술을 활용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 달리 2(DALL·E2)’ 를 공개한 이후 인공지능 환경의 예술을 둘러싼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다 .

‘컴퓨터 하는 고대 이집트 동물신’의 이미지. 오픈AI 제공
‘컴퓨터 하는 고대 이집트 동물신’의 이미지. 오픈AI 제공
■ ‘달리2 ’ 상업적 활용 가능

< 엠아이티 (MIT) 테크놀로지리뷰 > 가 지난 20 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 지난 4 월 이후 초청사용자 약 10 만명이 쓰고 있는 달리 2 는 곧 유료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인데 대기자만 100 만명이 넘는다 . 오픈에이아이는 “ 이용자들의 달리 2 에 대한 관심이 거대언어모델 (GPT-3) 때보다 훨씬 높다 ” 고 밝혔다 .

유료 서비스를 선택하면 달리 2 를 활용해 만든 이미지를 어린이 책의 삽화 , 게임과 영화를 위한 컨셉 아트 , 마케팅 홍보물 제작 등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현재 베타서비스 단계에서 제시된 달리 2 의 월 이용료는 15 달러로 , 115 회 사용권을 준다 . 사용권 하나를 써서 문자나 이미지를 입력하면 달리2는 한 번에 4 개의 이미지를 창작해 제공한다. 4 개 이미지를 모두 쓸 수 있지만 가장 만족스러운 이미지 하나를 선택하고 버리는 게 일반적이다 . 달리 2 같은 인공지능 도구는 예술창작 영역에서도 인간을 위협할 것인가 ?

‘마트에서 쇼핑하는 기린’의 이미지.
‘마트에서 쇼핑하는 기린’의 이미지.
■ 예술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픈에이아이는 지난 4 월 달리 2 서비스를 발표할 때 위험도 안내했다 . “ 달리 2 서비스가 사진 편집 ,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같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디자이너 · 사진작가 · 모델 · 편집자 ·예술가의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 ” 는 ‘ 경고 ’ 였다 .

인공지능이 문장과 이미지를 사람처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변환하는 기술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 웜보 (Wombo), 미드저니 (Midjourney), 크레용 (Craiyon) 등도 문장을 이미지로 변환시켜주는 인공지능 기반 창작 도구다 . 구글은 2019 년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에 자동으로 자막을 달아주는 ‘ 라이브캡션 ’ 기능을 선보였으며 , 마이크로소프트는 2021 년 사진설명 자동입력 서비스의 정확도를 사람 수준으로 높여 시각장애인용 앱과 워드 · 파워포인트 등 오피스 도구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

미국의 정보기술 전문지 < 와이어드 > 는 지난 13 일 이러한 인공지능 도구들이 인간의 예술 활동을 저해하거나 쓸모없게 하기보다 오히려 개선하고 있다는 이용자들의 사례를 보도했다 .

조각과 설치예술을 하는 벤자민 본 웡은 “ 달리 2 는 나처럼 그림을 그릴 수 없는 사람이 개념을 스케치할 필요 없이 빠르게 문장으로 이미지를 만들어볼 수 있게 해준다 ” 고 < 와이어드 > 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 지난 4 월 테드 컨퍼런스에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디자이너 아자 라스킨은 “ 이제 머릿속에서 시각적 이미지를 상상하면 바로 그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됐다 ” 며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이 창의성을 폭발시키고 인류의 시각적 환경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화성에서 비보이 공연하는 우주비행사’ 이미지.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화성에서 비보이 공연하는 우주비행사’ 이미지.

■ 디자이너 역할 변화

현재 오픈에이아이가 공개한 달리 2 의 결과물들은 향후 시각디자인 영역의 지각변동을 예고한다 . ‘ 기린이 마트에서 쇼핑하는 모습 ’ ‘ 고대 이집트의 동물신이 컴퓨터를 이용하는 모습 ’ 등 특정상황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순식간에 그림을 만들어낸다 . 앞으로 디자이너의 일은 상황에 어울리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대신 인공지능이 제시한 이미지를 변용하거나 선택하는 역할로 바뀔 수 있고 , 저작권과 전문성의 문턱이 낮아져 일반인들에게 사실상 개방될 수 있다 .

시각디자이너인 박은주 디자인주 대표는 “ 구상 예술가는 저작권에 위협을 느끼고 입지가 좁아질 수 있지만 디자이너로서는 짧은 시간에 다양한 테스트 버전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 며 장기적으로는 미술교육 방식과 디자이너 역량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 박 대표는 “ 미술교육이 기술 위주에서 창의력 중시로 바뀌는 정도를 지나 사고의 틀을 넘어설 것을 요구받는 환경 ” 이라며 “ 달리 2 같은 도구가 범용화하면 디자이너는 인공지능이 만든 이미지를 잘 활용할 줄 아는 눈과 논리력이 중요해진다 ” 고 말했다 .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연봉 7800만원…‘기재부 피셜’ 중산층·고소득층 가르는 기준? 1.

연봉 7800만원…‘기재부 피셜’ 중산층·고소득층 가르는 기준?

“AI가 데이터 출처 설명하고 저작권 대가 주는 날 올 것” 2.

“AI가 데이터 출처 설명하고 저작권 대가 주는 날 올 것”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08%…한국, 26개국 중 최고 상승폭 3.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08%…한국, 26개국 중 최고 상승폭

‘박카스 신화’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명예회장 별세 4.

‘박카스 신화’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명예회장 별세

여행 수요 늘어나는데… ‘고유가·고환율’에 항공사 울상 5.

여행 수요 늘어나는데… ‘고유가·고환율’에 항공사 울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