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는 20년 정도 적자를 볼 겁니다.”
글로벌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아마존의 창업 이야기를 담은 영화 ‘아마존: 더 비기닝’에서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투자자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플랫폼 기업의 성장 전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발언이다. 소비자 혜택을 앞세워 참여자를 끌어들이고 시장을 꿰차 더 많은 수익을 얻을 때까지 ‘장기 적자 경영’을 해나간다는 것이다.
중소상공인 피해액이 1조원에 육박하는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는 이런 플랫폼 전략이 외려 실물 경제를 덮치는 폭탄으로 돌변할 수도 있다는 걸 똑똑히 보여준 사례다. 고금리와 내수 부진, 경쟁 심화 등으로 플랫폼 기업의 ‘의도된 적자’가 대규모 채무 불이행 사태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2021년 머지포인트 사태를 시작으로 지난해 초 보고플레이와 하우스앱, 올해 들어 바보사랑과 티메프 사태까지 플랫폼 기업들로 인한 판매 대금 미정산 등 크고 작은 피해 사례가 매년 끊이질 않고 있다. 피해 추산액은 적게는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까지 제각각이다.
그러나 문제가 터진 원인과 전개 과정은 엇비슷하다. 소비자를 위한 대대적인 할인 정책에 들어간 비용을 플랫폼 기업이 부담하다가 유동성 위기를 맞아 빚을 갚지 못하고 문 닫는 수순이다. 대표적으로 머지홀딩스는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상품권을 20% 할인 판매하다가 돌려막기가 한계에 부닥치며 1천억원 규모의 구매자·제휴사 피해를 낳았다. 삼성전자 사내 벤처로 시작해 회원 수 100만명을 넘어섰던 보고플레이도 거액의 할인 행사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지난해 1월 입점 업체들에 300억원이 넘는 판매 대금을 지급하지 못한 바 있다.
그간 플랫폼 기업들의 이러한 공격적인 외형 성장 전략은 저가 상품을 미끼로 더 많은 이용자를 유인해 플랫폼의 쓰임과 지배력을 높이는 ‘네트워크 효과’를 노린 ‘혁신 경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일단 계획된 적자를 바탕으로 소비자를 끌어들이면 판매자와 상품 구성이 다양해지고 다시 더 많은 소비자가 찾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것이란 얘기다.
문제는 시장 환경이 기존 아마존, 쿠팡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급성장하던 시기와는 확연히 달라졌다는 점이다. 고금리 등으로 투자 유치 환경이 악화하고 소비 부진 탓에 온라인 유통시장의 성장도 정체된 까닭이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1∼3월)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59조7천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61조7천억원)에 견줘 3.2% 줄었다. 알리·테무 등 초저가를 무기로 삼은 중국 기업들의 진출로 가뜩이나 경쟁이 격화하는데 정작 시장의 파이는 쪼그라드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플랫폼들의 기존 성장 공식이 더는 통하지 않게 되며 만성적 적자 상태에 놓인 플랫폼 기업들이 문 닫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리라는 우려도 크다. 특히 우려를 낳는 건 거래 규모 확대를 최우선으로 하는 플랫폼 특성상 도산과 폐업에 따른 연쇄적인 피해도 클 수밖에 없어서다. 소비자 할인 등으로 발생한 손실이 고스란히 플랫폼에 입점한 중소기업·자영업자 등 판매자에게 전가돼 중소상공인 줄도산, 일자리 감소 등 실물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한 사모펀드 운용사 대표는 “기술력이나 수익성 등에 비해 거품이 끼었던 ‘플랫폼 지상주의’의 한계와 문제점이 이번 티메프 사태를 계기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정책의 변화가 시급하다는 촉구도 나온다. 플랫폼 기업의 적자 경영 행태를 소비자를 위한 ‘혁신’으로 여기며 소수 지배적 사업자의 갑질만 규제해온 현행 제도에 구멍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권남훈 건국대 교수(경제학과)는 “플랫폼 기업들의 네트워크 효과와 외형 성장에만 의존하는 전략이 먹히지 않는 것”이라며 “정책당국이 산업과 시장을 제대로 이해하고 대처했다면 티메프 사태로 인한 피해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종오 유선희 기자 pjo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