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들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4회 아시아미래포럼 분과세션1 라운드테이블 ‘공존의 미래, 사회연대경제에서 길을 찾다: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 아시아정책대화’에서 토론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패널들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4회 아시아미래포럼 분과세션1 라운드테이블 ‘공존의 미래, 사회연대경제에서 길을 찾다: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 아시아정책대화’에서 토론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필리핀에는 100개가 넘는 도시에 지방정부·지역대학·기업이 참여하는 디지털지역위원회가 있다. 한국처럼 일부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도가 높아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에 디지털 분야 일자리를 만들어 인재 유출을 막자는 취지다. 2008년부터 다양한 주체가 머리를 맞대온 결과, 이제는 디지털 분야 고용의 절반이 지방에서 생겨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수준이 됐다.

이런 일은 기업의 선의만으로, 중앙정부의 의지가 강하다고 해서 진행되기 어렵다. 기업의 범위를 뛰어넘되 국가보다는 작은 지방정부야말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최적의 주체다.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지세프)는 사회연대경제 단체(민)와 지방정부(관)의 협업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도모하자는 취지로 2014년 만들어진 국제 협의체다. 서울시가 출범 직후부터 7년 동안 의장도시를 맡았고 현재는 프랑스 보르도시가 의장도시다.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4회 아시아미래포럼 분과세션에선 지세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존의 미래, 사회연대경제에서 길을 찾다: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 아시아정책대화’라는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광고

2004년부터 필리핀 지방정부 시의원으로 일하며 앞서 소개한 디지털지역위원회 조직에 참여했던 조셀 바타파시게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 차관은 “인구 50만명의 도시를 담당하다가 이제 인구 1억명이 넘는 필리핀의 정보통신기술부에서 일하고 있다”며 “중앙정부의 역할은 지방정부의 잠재력을 존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연대경제는 전통적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날 세션에서는 빈민촌 어린이들에게 서커스 등 예술 교육을 진행하면서 가난한 예술인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캄보디아의 사회적기업 파레(PPSE)의 후오트 다라 대표가 참석해 활동을 소개하기도 했다. 밝은 하늘색 상의에 격자무늬 머플러를 두르고 사례 발표에 나선 그는 본격 발표에 앞서 “예술가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이 티가 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광고
광고

아시아 지역에서 사회연대경제가 화두로 떠오른 지도 20여년이 지났다. 상부상조 전통이 있기는 하지만 현대적인 사회연대경제 분야에서는 후발자로 간주됐던 아시아는 2020년대 이후부터는 관련 정책을 혁신하며 후발자를 넘어선 도전자, 독자적인 길을 가는 행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동시에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이 나타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여러 갈래로 활동하면서 사회연대경제 개념에 대한 해석은 물론이고 환경도 변해왔다. 미우라 히로키 서울대 사회혁신교육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최근 사회연대경제 논의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일체화 △성과 평가의 중요성 확대 △분야 간 협업으로 요약했다.

빈곤 종식, 양질의 교육, 성평등, 기후변화 대응 등이 담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노력하는 과정에서 사회연대경제가 일종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고, 사회연대경제 자체가 20년 정도 진행되면서 기존 사업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사회연대경제의 구체적 형태로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이 명확히 구분·인식됐다면 이제는 다양한 사업체 간의 협력과 협업이 당연해진 것도 특징이다.

광고

발표에 이은 패널 토론에선 실질적인 조언이 나왔다. 경기도 안성시에서 협동조합 활동을 해온 김보라 안성시장은 “지방정부가 해줘야 할 일 중 하나는 각 조직이 어떤 가치를 실현하는지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툴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며 “공무원 조직을 보면 사회적 경제를 담당하는 부서는 정해져 있는데 실제로 사회적 경제 조직이 하는 일은 환경, 돌봄, 교육 등 다양하다. 모든 부서의 공무원이 사회연대경제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으면 지방정부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오드 살다나 지세프 사무총장은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사회연대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 제도의 뒷받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