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2030년부터 보험료 수입보다 내줘야 할 연금 급여가 더 많은 ‘전환기’에 돌입한다. 이 때부터는 보험료 감소로 생기는 총수입 구멍을 투자 수익이 메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쌓인 적립금까지 헐어야 하는 탓에 기금 고갈 시점은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 그럼에도 전환기 대응 논의는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코 앞에 다가온 전환기에 대비해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 등 중장기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까닭이다. ‘2055년 기금 소진’에 앞서 ‘2030년 전환기’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뜻이다.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연금 기금운용의 쟁점과 대안적 접근’ 토론회에서는 국민연금 전환기 문제가 언급됐다. 원종현 기금운용본부 상근전문위원은 “현재 국민연금에 대해 기금 소진만 얘기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걱정되는 건 2030년”이라며 “자동차가 연료를 먹으면서 달리다가 엔진이 꺼지고 관성으로 10년을 더 가는 상황이다. 2030년 이후에 발생하는 보험료 수입과 급여 지출의 차이를 메꿀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 규모는 성장기, 전환기, 감소기로 나뉜다. 현재부터 2029년까지로 예측되는 성장기엔 보험료 수입이 총지출(연금 급여, 사업비, 기금운영비)보다 넉넉하게 많이 들어온다. 그러나 2030년부터 시작되는 전환기엔 보험료 수입이 연금 급여보다 작아지게 된다. 국민연금 4차 재정추계에 따르면, 2025년 국민연금의 보험료 수입은 59조6200억원으로 연금 급여 지출 47조8350억원보다 많지만, 2030년에는 보험료 수입(71조5370억원)이 연금 급여 지출(72조9850억원)보다 적어진다. 그러면서 총지출 규모를 감당하려면 보험료 수입 외 투자 수익(이자·재산 수입 및 여유자금 회수)이 매우 중요해진다. 줄어드는 보험료 수입을 투자 수익이 보완해야 하는 것이다. 국민연금은 투자 수익을 지금처럼 적립금으로 쌓고 운용하는 대신에 일부를 연금 급여 지출에 가져다 써야 한다. 이후 감소기는 투자 수익으로도 총수입 구멍을 메우지 못해 쌓아둔 적립기금을 꺼내 쓰기 시작하는 시기다.
전환기엔 성장기와 다른 투자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성장기 국민연금의 목표는 여유 자금을 가지고 최대한 수익을 내는 것이다. ‘바짝 벌어놔야’ 지출이 늘어날 가까운 미래를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위험 고수익’ 전략이 추진되기도 한다.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정에서 국민연금의 연간손실확률(연간 운용수익률이 마이너스일 확률)은 높아지는 추세다. 10년 전인 2013년에 17.0%였던 연간손실확률은 올해 24.9%까지 올라온 상태다.
반면 전환기가 되면 단 한 번의 마이너스 수익률도 부담스러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민연금기금을 운용하는 입장에서 전환기는 살얼음판을 걷는 셈이다. 지금까진 마이너스 수익률이 나더라도 보험료 수입이 넉넉하니 재정에 큰 무리는 없었으나 전환기엔 투자 수익 일부로 연금 급여를 줘야 해서 문제가 커진다. 만약 전환기에 투자 수익 관리를 못하면 감소기를 더 앞당길 수도 있다.
문제는 전환기에 돌입하는 2030년이 7년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관련 논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보건복지부는 기금 운용 수익률을 제고할 방안을 빠르면 이달 중으로 내놓을 예정이다. 연금개혁과 관련해선 정부뿐 아니라 국회에서도 연금개혁특별위원회가 만들어져 가동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 기금 고갈과 이를 대비해 성장기에 수익을 높여야 한다는 데에만 논의가 집중되고 있다. 투자 전략을 보수적으로 바꿔야 할 2030년에 대한 고민은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올해 정부가 내놓은 5차 재정추계 자료에도 전환기는 포함돼 있지 않다. 감소기의 시작(2041년)과 끝(2055년)이 4차 재정추계 때보다 각각 1년, 2년 앞당겨진 것처럼 전환기가 빨라졌을 가능성도 있지만 아직은 확인할 수 없다. 복지부 관계자는 “적자 전환 시기와 기금이 다 소진되는 시기 두 가지만 보통 내놓고 있다. 전환기까지 따로 뽑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지금은 국민연금에서 나가는 돈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전환기에 들어가면 지출이 얼마나 나갈지 명확히 계산해서 (총수입과) 맞춰야 한다. 현금화할 수 있는 돈을 잘 계산해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민연금도 전환기의 중요성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주식과 대체투자를 열심히 하겠지만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만기가 정해져 있고 현금화가 쉬운) 채권 투자 중심으로 돌아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연금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기금위)는 윤석열 정부 들어 회의 개최 수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과 2021년에도 기금위 회의는 각각 열 차례씩 열렸지만, 지난해에는 여섯 번에 그쳤고 올해는 아직 한 번밖에 열리지 않았다. 그마저도 노동계 쪽 위원이 ‘품위 손상’을 이유로 해촉되는 등 잡음이 나왔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