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배터리 생산의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해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에서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가 배터리 생산의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해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에서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한국이 배터리(이차전지) 핵심 광물을 특정국에 의존하는 정도가 주요 경쟁국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핵심 광물의 중국 수입 비중은 10년 새 갑절 가까이 증가해 60%에 달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15일 내놓은 ‘이차전지 핵심광물 8대 품목의 공급망 분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이차전지 제조에 필수적인 8대 핵심 광물 중 5개 품목에서 독일·일본·중국 등 주요 경쟁국보다 최대 수입국 의존도(비중)가 가장 높았다. 5개 품목(의존도)은 산화코발트·수산화코발트(83.3%), 황산망간·황산코발트(77.6%), 산화리튬·수산화리튬(81.2%), 탄산리튬(89.3%), 황산니켈(59%) 등이다. 일본은 이산화망간(92%)과 천연흑연(91.5%) 등 2개 품목에서, 중국은 산화니켈·수산화니켈(79.1%) 품목에서 특정국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이 분석은 2020년 유엔무역통계 기준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 1위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평균한 값은 77.1%로, 일본(66.5%), 중국(60%), 독일(51.1%)보다 높았다. 핵심광물별 수입국을 상위 2개국으로 넓혀 보면 수입 쏠림 현상이 더 확연해진다. 한국은 핵심광물 8개 품목 모두에서 수입 상위 2개국에 90% 이상을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5개, 중국은 2개, 독일은 1개 품목만 여기에 해당됐다.

광고

수입국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핵심광물 8개 품목 중 탄산리튬(칠레)과 황산니켈(핀란드)을 제외한 6개 품목을 중국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액 기준 대중 수입 의존도는 한국 58.7%, 일본 41%, 독일 14.6%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이차전지 핵심광물을 가장 많이 들여오는 나라는 칠레(38.3%)였다. 한국의 8대 핵심 광물 전체 수입액 중 대중 수입 비중은 2010년 35.6%에서 2020년 58.7%로 10년 새 23%포인트 급증했다.

한편, 한국이 미국과 미국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부터 핵심광물을 수입하는 비중은 평균 15%로 조사됐다. 내년부터 적용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보조금 요건인 40%에 크게 미달하는 수치다. 보고서는 “탄산리튬을 제외한 7개 품목 총수입액의 해당 비중은 10.1%로, 단기간에 보조금 요건을 충족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