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일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5천달러를 넘어섰다. 한국 경제가 코로나19 경기 부진을 딛고 반등에 성공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한국은행은 수년 내 4만달러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이 3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5168달러로 2020년(3만1881달러)보다 10.3%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4024만7천원으로, 전년(3762만1천원) 대비 7.0% 늘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연간 명목 국민총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통상 국민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간주된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은 1994년 1만달러, 2006년 2만달러, 2017년 3만달러를 각각 돌파하는 등 꾸준히 늘어왔다. 2019~2020년은 경기 악화와 코로나19 발생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해 반등에 성공했다.

광고

1인당 국민총소득 증가는 경제 회복과 환율이 뒷받침했다.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경상성장률)은 6.4%로 2010년(9.7%) 이후 가장 높았다. 물가 변동분을 제거한 연간 실질 지디피 증가율(실질성장률)도 4.0%로 2010년(6.8%) 이후 최고치였다. 수출 호조와 정부 재정 확대, 경제 주체들의 코로나19 적응 등의 요인에 힘입은 결과다. 물론 코로나 첫해인 2020년 경기가 크게 부진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원화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도 달러 표시 국민총소득을 키운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전년 대비 3.0% 하락했다.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 증가율이 원화 기준 증가율을 크게 웃돈 까닭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국제 비교를 위해 통상적으로 달러로 표기한다.

광고
광고

1인당 국민총소득이 수년 내 4만달러를 돌파할 가능성도 거론됐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환율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정확하게 예측하긴 어렵지만, 한국 경제가 코로나19 위기를 잘 극복하면서 꾸준히 성장한다면 수년 내 1인당 국민총소득 4만달러 진입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1인당 국민총소득과 실제 국민 체감 소득은 다를 수 있다. 국민총소득은 가계, 기업, 정부가 한 해 벌어들인 소득을 모두 합하기 때문이다. 경제 주체 내 분배 상황에 따라 가계 소득 증가율이 국민총소득 성장세에 못 미치거나 웃돌 수 있다는 얘기다.

광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문재인 정부 4년 중 2년이 전대미문의 전 세계적 코로나19 위기였던 점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가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