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8월 한반도에 들어온 미국 공군은 서울 도심에 대규모 폭격작전을 벌인다. 북한 조선인민군이 6월 28~29일 점령한 서울 용산역과 그 앞 시가지, 용산·서빙고 옛 일본군 기지 등에 수십여톤의 막대한 폭탄을 쏟아부어 용도 불능으로 만드는 융단폭격이었다. 그해 7월16일 비(B)29 중폭격기 47대가 용산역전과 철도공작창, 조차장에 소이탄 더미를 투하해 완전히 파괴한 대공습을 비롯해 9월까지 이어진 4~5차례의 공습폭격으로 용산역전 시가지와 철도시설, 용산기지 일대는 쑥대밭이 되었다.
2022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서 용산 폭격 동영상과 주요 사진들이 언론에 공개된데 이어, 최근 당시 연쇄 폭격으로 해방 뒤 월남한 민간인들이 모여 살던 용산기지 북동쪽의 해방촌(현재 서울 용산동2가∙후암동 일대)도 전면 초토화하는 피해를 본 사실이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공식보고서 발굴로 확인됐다.
전갑생 성공회대 연구교수는 지난 22일 ‘6·25전쟁기 도시폭격과 재건’을 주제로 서울 배제학당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용산 관련 근현대사 연구자 세미나에서 ‘한국전쟁기 서울과 인천지역 미 공군 폭격’이란 제목의 논고를 통해 시아이에이가 작성한 ‘1950년 인민군 점령 아래의 서울 상황과, 폭격 전과 및 피해 상황에 대한 정보보고문’을 처음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미국 메릴랜드주의 국립공문서관에서 전 교수가 발굴한 것으로 1950년 9월15일 작성됐다고 나와 있다. 보고서는 미 공군이 용산에 1910년대 조성한 옛 일본군 기지와 서빙고 일대의 창고 등에 들어선 조선 인민군 기지와 보급시설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용산 일대 군수공장, 포병학교, 조선인쇄회사, 삼각지 부대주둔지 등의 군사시설과 더불어 월남민 동네인 해방촌이 전파(완파)됐다고 피해 상황을 보고했다.
서울역과 신당동, 서빙고동도 일부가 파괴됐다고 덧붙였지만, 전체가 완전히 파괴된 피해 대상 목록에 민간인 마을로는 유일하게 해방촌이 올라있다. 전 교수는 “해방촌은 용산기지 북동쪽에 있고 서빙고동 군수창고로 가는 중간 지점이어서 폭격대상에 합쳐졌을 것으로 보인다”며 “1950년 9월 인천 상륙작전 때 월미도 폭격처럼 전시 민간인 밀집 지역에 대한 폭격은 엄격히 금지된 제네바 협정 3조를 위반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주장했다.
해방촌 폭격은 전쟁 당시 서울 정릉에 살면서 폭격의 참상을 직접 목격한 기억과 여러 풍문을 소개한 김성칠 서울대 사학과 교수의 회고록 ‘역사 앞에서’(2018·창비)에 단편적으로 언급된 바 있다. 김성칠은 전언이라고 소개하면서 “맹폭으로 수천명의 무고한 사상자가 났다”고 증언해 폭격 사실은 어렴풋이 알려졌으나 공식 문서기록은 전무했던 상황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시아이에이 보고서 발굴은 이를 정사로 입증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전 교수는 논고에서 미군은 이후 유엔군 행정처, 한국 정부와 함께 9~10월 대대적인 피해현황 조사를 벌여 같은 해 11월14일 유엔군사령부는 미국 육군부 병참참모부(G-4)에 ‘전쟁피해 조사보고서-남한’(War Damage Survey Report – South Korea) 보냈으나 인명피해 대목은 전혀 없이 시설의 피해 상황과 복구액수만 추산해 의도적으로 조사를 벌이지 않았다는 의혹도 제기된다고 짚었다. 또 전 교수는 현재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폭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도시 민간인 구역 공격과 같은 민간인 살상 폭격이 70여년 전 서울 한복판에서도 벌어졌던 정황을 전해주는 공식사료들이 수집됐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
전 교수는 아울러 1950년 7월 용산 대폭격 이후 폭발구덩이 등 폭격의 전반적인 피해규모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용산역과 용산 기지 일대의 항공사진도 미국 국립공무서관에서 발굴해 함께 공개했다. 용산역 일대를 폭격해 화염과 연기가 일어난 사진들은 2022년 영상과 함께 공개된 바 있으나, 폭격 이후인 8월에 용산 역 일대 상공을 돌며 폭격 중심 지역의 파괴 상황을 한눈에 보이도록 선연하게 잡은 구도의 사진은 처음 확인되는 것이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