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책&생각

생물학적으로 풀어낸 ‘앎’의 구현

등록 2007-04-26 15:33

 <앎의 나무-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지음/ 최호영 옮김. 갈무리 펴냄. 1만5000원
<앎의 나무-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지음/ 최호영 옮김. 갈무리 펴냄. 1만5000원

인간은 어떻게 ‘앎’을 구현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데 있어, 프로이트는 무의식적 조건을, 맑스는 계급적 조건을,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적 조건을 중요하게 여겼다. 세계적인 신경생물학자인 두 명의 저자는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에 주목한다. 이들이 보기에, 생물은 자신의 인식 조건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며 발전시키는 존재다. 저자들은 말한다. “우리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시야를 ‘체험’하는 것이다.”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세계에 집착하지 말라, 인간은 개별적인 ‘인식 활동’을 통해 세계를 만들어낸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우리가 ‘같은 세계’에 살고 있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 저자들은 이렇게 요약한다.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불가의 화두처럼 들리는 이 문장은 인식자의 ‘주체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환경이 개체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던 전통 다윈 생물학을 뒤엎는 혁명적 발상으로 꼽힌다. 우리 머릿속 일들이 사회, 세계와 어떻게 만나는지, 풍부한 예를 들어 설명했다. 이미경 기자 friend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이병헌 “아이유 캐스팅 이유? 제가 아이유의 선택 받았죠” 1.

이병헌 “아이유 캐스팅 이유? 제가 아이유의 선택 받았죠”

‘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가 오열하며 뽑은 ‘명장면 6’ 2.

‘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가 오열하며 뽑은 ‘명장면 6’

“[단독] 배우 ○○ 사망” 가짜뉴스, 가족도 속아…연예계 발끈 3.

“[단독] 배우 ○○ 사망” 가짜뉴스, 가족도 속아…연예계 발끈

울릉도 출발 배까지…‘대동여지도’ 희귀판 일본서 돌아왔다 4.

울릉도 출발 배까지…‘대동여지도’ 희귀판 일본서 돌아왔다

“빌런인데 내 주변 평범한 남자, 차무식”…최민식의 한국 누아르 5.

“빌런인데 내 주변 평범한 남자, 차무식”…최민식의 한국 누아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한겨레 데이터베이스 | 뉴스그래픽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탐사보도 | 서울&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사업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