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책&생각

11월26일 학술·지성 새 책

등록 2021-11-25 21:35수정 2021-11-25 21:39

[오르비스 테르티우스: 라틴아메리카 석학에게 듣는다]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의 해외석학 초청강연을 뼈대로 라틴아메리카 탈식민주의를 소개한다. 비교적 잘 알려진 아니발 키하노, 엔리케 두셀, 월터 미뇰로 외에 넬슨 말도나도-토레스, 마벨 모라냐 등도 만나볼 수 있다.

우석균 엮음 l 그린비 l 2만5000원.



[사랑의 교육학: 파울로 프레이리를 재창조하다]

<페다고지>로 비판교육학을 세운 파울로 프레이리(1921~1997)의 사상을 ‘사랑의 교육학’이라 부르고, 그 정신을 ‘재창조’라고 되새긴다. 인간성 회복을 위해 이론과 실천의 변증법적 동맹을 강조한다.

안토니아 다더 지음, 유성상 등 옮김 l 살림터 l 2만2000원.



[흔들림 없는 역사 인식: 조선인 강제연행·원폭 피해자의 편에 서다]

한평생 조선인·중국인 강제 연행과 원폭피해 실태조사 및 전후보상운동에 헌신했던 일본의 지식인 다카자네 야스노리(1939~2017)의 유고집. 다양한 글들 속에 ‘역사윤리’에 대한 고민이 짙게 배어 있다.

전은옥 옮김 l 삶창 l 1만6000원.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미디어 생태학적 통찰]

미디어를 인간을 둘러싼 환경으로 보는 미디어 생태학을 소개하고 정리했다. 닐 포스트먼, 마셜 매클루언 등 미디어 생태학 선구자들이 주목했던 구술성과 문자성, 유년기 개념 등을 통해 미디어와 인간의 조건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동후 지음 l 컬처룩 l 2만4000원.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 한국의 국가 상징 이미지]

한국 근현대 미술사, 미학 연구자인 지은이가 1880년~1910년대에 만들어진 근대 국가의 상징들과 그 변천을 파고들었다. 국기로 반포된 태극기, 화폐에 삽입된 오얏꽃, 문관 대례복에 적용된 무궁화 문양 등과 그것들이 실제로 수용된 맥락까지.

목수현 지음 l 현실문화A l 2만8000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단독] 배우 ○○ 사망” 가짜뉴스, 가족도 속아…연예계 발끈 1.

“[단독] 배우 ○○ 사망” 가짜뉴스, 가족도 속아…연예계 발끈

‘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가 오열하며 뽑은 ‘명장면 6’ 2.

‘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가 오열하며 뽑은 ‘명장면 6’

울릉도 출발 배까지…‘대동여지도’ 희귀판 일본서 돌아왔다 3.

울릉도 출발 배까지…‘대동여지도’ 희귀판 일본서 돌아왔다

“빌런인데 내 주변 평범한 남자, 차무식”…최민식의 한국 누아르 4.

“빌런인데 내 주변 평범한 남자, 차무식”…최민식의 한국 누아르

뉴진스 장기집권 누가 깰까…아이브∙르세라핌∙에스파 컴백 5.

뉴진스 장기집권 누가 깰까…아이브∙르세라핌∙에스파 컴백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한겨레 데이터베이스 | 뉴스그래픽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탐사보도 | 서울&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사업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