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와 이명박 전 대통령 고향마을의 입장객이 올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확산 여파 때문이다.
17일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의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통계를 보면, 지난 1~6월 경북 구미시의 박 전 대통령 생가 입장객은 1만959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입장객(13만1695명)의 15% 정도다. 박 전 대통령 생가 입장객 집계 이후 가장 적은 숫자다.
박 전 대통령 생가 입장객은 2015년까지 해마다 50만명을 넘었다. 그러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2016년 38만명으로 내려앉았다. 이후 2017년 26만명, 2018년 20만명 등 해마다 줄었다. 지난해에는 23만명으로 조금 늘었지만 올해는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2006~2018년 박 전 대통령 생가 주변에 ‘새마을운동 테마공원’(879억원), ‘박정희 대통령 민족중흥관’(59억원) 등의 기념시설을 만들었다.

경북 포항시의 덕실마을 입장객도 크게 줄었다. 덕실마을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어릴 적 잠깐 살아 ‘이명박 전 대통령 고향마을’이라 불린다. 덕실마을 입장객은 1~6월 562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5097명)에 견줘 3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포항시는 2013~2016년 40억원을 들여 생태공원, 덕실관 등으로 덕실마을을 꾸몄다. 덕실마을 입장객은 2016년 15만명이었다. 하지만 이후 급감해 지난해는 2만명까지 떨어졌다. 이 추세라면 올해 덕실마을 입장객은 1만명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font color="#FF4000">[단독]</font> 1인당 49만원…한덕수, 국무위원 만찬 세 번에 1550만원 ‘흥청망청’](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2/53_17629337979468_11_17629317830253_4517629317592424.webp)





![[사설] 조태용 구속 이어 내란 세력 단죄 박차 가해야](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12/53_17629505020668_20251112503619.webp)







![[현장] 울산화력 ‘60대 용접공’ 유족 “버티고 버텼는지…손발 모으고 있어”](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12/53_17629459787283_20251112503530.webp)












![<font color="#FF4000">[현장]</font> 울산화력 ‘60대 용접공’ 유족 “버티고 버텼는지…손발 모으고 있어”](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2/53_17629459787283_20251112503530.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