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제천화재 참사 유가족·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대책위원회와 대구지하철 참사·세월호참사 등 사회적 참사 대책위 9곳이 꾸린 재난 참사 피해자 연대 등이 7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제천 화재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 지원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오윤주 기자
제천화재 참사 유가족·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대책위원회와 대구지하철 참사·세월호참사 등 사회적 참사 대책위 9곳이 꾸린 재난 참사 피해자 연대 등이 7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제천 화재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 지원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오윤주 기자
광고

“유가족 자녀 4명이 참사로 떠난 부모가 보고 싶다며 곁으로 갔어요. 제천 화재 참사 7년, 상처는 곪아가고 슬픔은 커지고 있어요. 우리를 외면하지 말아 주세요.”

한을환 제천 화재 참사 부상자 협의회 대표의 피 끓는 절규다. 한 대표는 7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열린 ‘제천 화재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피해자 지원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끝머리에, “한마디만 해도 될까요”라며 입을 뗐다.

그는 “제천 화재 참사도 벌써 8주기로 접어들었네요. 그 사이 유가족의 딸 하나와 아들 둘이 엄마가 보고 싶다며 그 곁으로 떠났고, 다른이 또한 세상을 떴다. (수사 기관 등에선 희생자와) 이들의 죽음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그 사이사이 인과관계가 없을까요?. 우리 사회가 보듬고 치유해야 한다”고 했다.

광고

이날 기자회견은 제천화재 참사 유가족·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 대책위원회, 대구지하철 참사·세월호참사 등 사회적 참사 대책위 9곳이 꾸린 재난 참사 피해자 연대 등이 함께 열었다. 한 대표의 발언이 이어지자 곳곳의 참석자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이들은 7년이 넘도록 지지부진한 제천 화재 참사와 2년째를 맞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피해자 지원 등을 촉구하려고 이날 회견을 열었다. 지난 2017년 12월21일 제천시 하소동 한 스포츠 복합건물에서 발생한 제천 화재 참사에선 29명이 숨지고 40명이 다쳤고, 지난 2023년 7월15일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사망 14명, 부상 16명 등 피해를 냈다.

광고
광고

윤석기 재난참사피해자연대 부대표(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대책위원장)는 “제천·오송 참사는 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이 법·제도·기관·시스템 등을 잘못 관리·운용해서 발생한 사회적 참사”라며 “하루빨리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피해자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제천·오송 참사 유가족 대책위 등이 7일 제천·오송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 등을 요구했다. 오윤주 기자
제천·오송 참사 유가족 대책위 등이 7일 제천·오송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 등을 요구했다. 오윤주 기자

제천 화재 참사 유가족들은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제천 화재 참사 7년이 넘도록 피해자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광고

앞서 국회가 지난 2023년 12월28일 여야 의원 264명의 찬성으로 ‘제천 화재 참사 유가족을 위한 지원 결의안’을 낸 데 이어, 김영환 충북지사도 지난해 2월 유족대표, 제천시 등과 유족 지원 협약을 하고 위로금 등 지급을 약속했다. 하지만 충북도의회가 위로금 지급 근거가 될 조례 제정을 미루면서 피해자 지원이 되지 않고 있다.

민동일 제천 화재 참사 유가족 공동대표는 이날 “10여일 전 참사 7주기 추모식이 있었다. 사랑하는 가족을 보낸 아픔을 딛고 고인을 추모하며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충북도·충북도의회가 결단해 달라. 너무 답답하다”고 했다.

오송 참사 피해자 지원 또한 제자리걸음이다. 오송 참사 대책위는 “오송 참사는 단순 자연재해가 아니라 사회적 시스템 부재가 초래한 비극”이라며 “참사 이후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피해자 지원, 추모 공간 조성 등을 요구했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제주항공 참사 진상 규명 관련 주문도 나왔다. 민동일 제천화재 참사 공동대표는 “사회적 참사 피해자들은 제주항공 참사가 더욱 아프게 다가온다. 피해자와 피해자 추천 전문가 등을 참사 진상 조사에 참여시켜 의혹을 낱낱이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