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독립적이며 도도하고 까칠한 동물처럼 여겨진다. 반려인과 정서적 유대가 돈독한 개와 달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습성 탓에 사회적 인지 능력이 과소평가되기도 한다. 그런 고양이가 개와 마찬가지로 함께 살던 ‘친구’가 죽으면 슬픔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가디언은 7일(현지시각) “미국 오클랜드대 심리학과 연구진이 고양이 보호자 400여 명을 설문한 결과, 같은 집에서 지내던 다른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고양이가 슬퍼하는 행동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최근 국제학술지 ‘응용 동물행동학’에 실렸다.
보도를 보면, 연구진은 고양이의 애도 행동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잃은 고양이 반려인 412명에게 그들이 키우는 고양이 452마리의 식습관·수면 시간 등 행동 변화, 숨진 동물과 고양이의 친밀도, 반려인과 숨진 동물과의 애착 정도 등을 물었다. 사망한 반려동물 3분의 2는 고양이, 나머지는 개였다.
설문 결과 ‘동물 가족’을 잃은 고양이들은 평소에 견줘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밥을 잘 먹지 않았고, 울음소리를 더 많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에게 더 많이 다가와 주의를 끌려고 하거나 평소에 즐겼던 놀이를 중단하기도 했다. 또 특정 장소에 숨거나 혼자 있는 시간을 늘리는 경향이 있었고, 죽은 동물을 찾는 듯한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고양이의 이러한 행동은 고양이가 죽었을 때나 개가 죽었을 때 동일하게 나타났다.
수면·식사·놀이 줄고, 보호자 주의 끌려는 행동 보여
가족을 잃은 고양이는 종의 차이보다 사망한 동물과 얼마나 오래 지냈는가에 더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죽음을 직접 목격했는지 여부와 함께 살고 있는 반려동물의 개체 수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연구진은 “일상생활을 같이 했던 동물의 죽음에 고양이들은 슬픔이나 두려움을 느끼는 듯한 행동을 보였다”며 “특히 긍정적 교류가 잦았던 관계에서는 수면·식사·놀이 감소가 두드러졌다”고 논문에 밝혔다.
이러한 설문 결과는 고양이가 동료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하지만, 반려인의 슬픔이 투사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연구진은 “반려인이 슬픔이 클수록 고양이들의 수면 시간, 혼자 있는 시간 등이 변화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덧붙였다.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도하는 듯한 행동은 사회성이 발달한 코끼리, 돌고래, 영장류, 새 등에서 자주 목격된다. 이들은 죽은 동료의 냄새를 맡고 만지거나 둘러싸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2022년 이탈리아 밀라노대 연구를 보면, 개는 함께 살던 개가 죽었을 때 식욕이 떨어지고 무력감에 빠지는 등 부정적인 행동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제니퍼 본크 오클랜드대 교수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냉담하고 사회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야생 고양이를 보면 무리로 사회생활을 하며 서열을 정하는 경향이 있다”며 “지금껏 우리가 고양이의 (사회적) 특성을 잘못 파악했을 수 있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