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수용소에서 생체실험을 당했다는 탈북자들의 주장을 담은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미국 피터슨연구소의 마커스 놀랜드 선임연구원은 최근 KDI 세미나에서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경험한 억압과 처벌'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이 같은 설문 결과를 내놓았다.
이번 설문 조사 결과는 2004년 8월~2005년 9월 중국 11개 지역에 거주하는 1천346명의 탈북자와 2008년 11월 한국에 거주하는 300명의 탈북자를 일대일 인터뷰해 작성한 것이다.
이 두 차례의 조사에서 중국 거주 탈북자의 55%는 '북한 수용소에서 생체 실험을 당했다'고 답했으며 '신생아 살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자도 5%에 달했다. 한국 거주 탈북자 중 7%도 '신생아 살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또한 '처형을 목격했다'는 한국 거주 탈북자가 응답자의 51%에 달했고 '고문으로 인한 사망을 봤다'는 중국 거주 탈북자는 60%에 이르렀다. '급식 박탈'은 중국 및 한국 거주 탈북자 대부분이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탈북자 중 92.1%는 '북한 정부의 정책 때문에 북한 경제가 악화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87.3%는 '북한에 있을 당시 한국과 통일돼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탈북 이유로는 '경제적 여건'이라고 응답한 탈북자가 56.7%로 가장 많았고 정치적 자유(27%), 공포감(8%) 순이었다.
중국 거주 응답자의 30%, 한국 거주 응답자의 33%는 '대기근 시기에 가족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중국 거주 응답자의 43%, 한국 거주 응답자의 56%는 '상당수의 탈북자가 대북 식량 원조 프로그램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이들 중 소수만이 북한이 원조를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답변했다.
원조의 혜택은 군대(67.4%), 정부 및 당간부(28.7%)에게 돌아갔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다수였으며, 현재 북한의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은 41.9%에 달했다.
탈북자들이 정착하기를 희망하는 국가는 한국(64%)과 미국(19%)이 압도적이었으며, 응답자의 80% 이상이 한국과의 통일을 희망했으며 북한에 있는 동료의 생각도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심재훈 기자 president21@yna.co.kr (서울=연합뉴스)
“탈북자, 북수용소서 생체실험 당해”
“탈북자 80%, 북주민 한국과 통일 원할 것”
- 수정 2019-10-19 11:20
- 등록 2009-11-05 06:47
![<font color="#FF4000">[단독] </font>김건희, 금거북 이배용 ‘청탁 문건’ 직접 받았다…진관사 회동](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2/53_17628968241413_20251111504021.webp)
![<font color="#FF4000">[단독] </font>감사원장 퇴임식서 “세상은 요지경~ 여기도 짜가” 유병호 ‘행패’](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1/53_17628649967246_20251111503928.webp)











![[단독] 김건희, 금거북 이배용 ‘청탁 문건’ 직접 받았다…진관사 회동](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12/53_17628968241413_20251111504021.webp)













![<font color="#FF4000">[단독] </font>김건희, 금거북 이배용 ‘청탁 문건’ 직접 받았다…진관사 회동](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17/490/imgdb/child/2025/1112/53_17628968241413_20251111504021.webp)
![<font color="#FF4000">[단독]</font> 감사원장 퇴임식서 “세상은 요지경~ 여기도 짜가” 유병호 ‘행패’](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2/53_17629104176347_20251111503928.webp)




![“대법원장이 대법관 ‘선택’하는 최고법원, 합의체 본질 위배” <font color="#00b8b1">[직격 인터뷰]</font>](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2/53_17629007124354_20251111504024.webp)


